부산의대 신명준 교수 "필요한 제품 알지 못하는 수급자 많아 의료진 관심 기울여야"

▲ 24일 경희의료원에서 열린 대한노인재활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부산의대 신명준 교수가 '노인복지용구 현황과 처방 가이드'에 대해 발표했다.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복지용구가 필요한 노인들이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재활의학과 의사가 이를 추천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부산의대 신명준 교수(재활의학과)는 "노인들의 편익과 질병 악화 예방, 활동량 증가 등의 측면에서 복지용구는 노인들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재활의학 영역에서 살펴봐야 할 도구"라며 "재활의학과 의사가 복지용구 수요 확대에 기업과 함께 하는 시스템이 마련되길 바라며, 어렵다면 어느 정도 선에서 복지용구를 노인들에게 권유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24일 경희의료원에서 열린 대한노인재활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밝혔다.

복지용구란 심신 기능이 저하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지장이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자립적인 생활을 돕는 용구로, 의료기기, 재활보조기구, 고령친화용품 등으로 혼용돼 사용된다.

복지용구 서비스는 만 65세 이상 또는 치매, 뇌혈관질환, 파킨슨병 등 대통령령으로 정한 노인성 질병을 가진 65세 미만이 노인장기요양 인정을 받아야만 이용이 가능하다. 

문제는 장기요양 인정을 받은 수급자들이 복지용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정말 필요한 복지용구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라는 것이다.

▲ 신명준 교수.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그는 "장기요양보험 수급자가 복지용구를 사용하기 위해 등급을 받았음에도 필요한 복지용구가 무엇인지를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복지용구 사업소에서 상담을 통해 복지용구를 제안받지만 이 과정이 잘 이뤄지고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구체적으로 복지용구 품목이 많아 수급자가 제품 별 차이를 알 수 없어 결국 사업소가 권유하는 물품을 구입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는 게 그의 전언이다. 

현재 복지용구 사업소의 시설 및 설비 기준은 사무실, 전시 및 체험공간을 포함해 최소 7평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복지용구가 7평 남짓한 공간에 모두 전시돼있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수입을 내야 하는 사업소는 기능적인 측면보다는 제품 마진에 따라 수급자에게 제품을 보여주고 상담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구조가 된다. 결국 수급자는 복지용구에 대한 제한적인 정보만 제공받게 되면서 제품 선택권이 박탈되는 문제로 이어진다. 

신 교수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재활의학과 의사들이 복지용구가 필요한 이들에게 가장 적합한 제품을 추천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병원에서 복지용구에 대한 교육 및 설명을 진행하고 수급자는 필요한 복지용구를 알고 사업소를 찾게 된다면 현 시스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수급자들의 복지용구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재활의학과 의사들이 지혜를 모으면서, 나아가 복지용구를 전문가가 처방하는 시스템 마련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급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복지용구에 대한 정보를 찾고 제품별 차이를 비교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홈페이지에서도 복지용구에 대한 기능적 차이는 보여주지 않고 있다. 누군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작업을 해야 한다"며 "전문가들도 복지용구를 처방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된다면 더 좋을 것 같다. 전문가 처방으로 접근성뿐만 아니라 복지용구 사용에 대한 구조가 효율적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어 "복지용구의 기능적 개선을 중심으로 한 품질개선, 표준 제정, 연구 개발 등은 재활의학과 의료진이 병원 환경을 이용해 충분히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역"이라며 "복지용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병원과 기업, 그리고 노인 세 그룹이 모두 합심함으로써 결국 더불어 살 수 있도록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