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정 교수 "비만하다면 2차검진에서 스트레스, 불안 등에 대한 추가적인 선별검사 필요"

▲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40주년을 맞아 14일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한국인의 비만: 이슈 진단과 정책 제언'을 주제로 비만예방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비만이 신체건강 문제를 넘어 정신건강 악화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비만하다면 스트레스, 우울증 등에 대한 선별검사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14일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열린 비만예방 정책세미나에서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최원정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비만과 정신건강은 서로 영향을 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며 "이에 건강검진 시 비만에 해당된다면 2차검진에서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등의 정신건강에 대한 추가적인 선별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 교수가 그 근거로 제시한 연구에 따르면 만성질환인 고혈압, 당뇨병은 우울증과 스트레스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고도비만인 경우 우울증과 스트레스 모두에 악영향을 미쳤다. 

비만 유무에 따른 삶의 질을 측정한 결과에서 정신사회적 건강지수는 비만한 사람이 6.7점으로 7.5점인 비만하지 않은 사람보다 건강지수가 낮았다. 스트레스 지수도 정상인 사람 2.15점과 비교해 비만한 사람은 2.16점으로 조금 높았고 고도비만일 경우 2.41점으로 급격히 상승했다. 

주목할 점은 비만과 우울증의 상관관계다. 최 교수가 소개한 Simon 연구에서 우울증 등 기분장애와 불안장애를 겪는 경우는 비만한 사람이 정상인 사람보다 25%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다른 메타분석 결과에 의하면 비만할수록 우울증 발병 위험이 1.55배 높았고, 우울증이 있다면 비만 발생 위험이 1.58배 증가했다.

아울러 국민건강보험공단 비만관리대책위원회 서수연 교수팀(성신여대)이 국민영양조사를 분석한 결과에서 고도비만인 남성과 여성 중 정신질환을 앓고 있던 경우는 각각 11%와 29%를 차지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비만은 사회심리적, 정서적, 정신병리적 차원에 악영향을 미치며 비만과 정신건강은 상호밀접하게 연관됐다는 것이 그의 전언이다.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최원정 교수.
ⓒ메디칼업저버 김민수 기자.

최 교수는 "스트레스를 받고 불안, 우울을 느낄 때 먹는걸로 해결하면서 비만이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면서 "게다가 체중 조절에 실패했다는 의식을 갖게 되면 열등감, 신체적 손상, 자아개념 악화 등을 초래해 결국 비만이 정신병리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그는 생애주기별 검진 시 비만에 대한 선별검사와 함께 2차검진에서 스트레스, 불안, 우울, 수면장애 등에 대한 선별검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그는 아동청소년 대상의 선별검사를 강조했다. 비만 유병률이 높은 중장년층 남성에서는 이러한 선별검사가 잘 이뤄지고 있지만 신체가 형성되고 외모에 관심이 많은 아동청소년에서는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는 것.

이에 최 교수는 지역사회에 마련된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피력했다. 그는 "각 지역 보건소에서는 비만 관련 예방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교육도 병행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며 "아울러 검사결과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발견됐다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로 빠르게 연계해 이를 해결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한비만학회 유순집 이사장(가톨릭의대 부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은 "2차검진에서 정신건강을 평가하자는 제언에 동의한다"면서 "이러한 선별검사 적용은 건강보험공단이 앞으로 해야 할 지표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전국보건소장협의회 이현숙 회장은 "BMI가 높은 환자를 사전에 발굴하고 관리하는 것에 동의한다. 하지만 선별검사를 진행하고 관리하기에는 재정적, 인력적 제한이 있다"며 "건강검진을 통해 문제가 확인된다면 2차검진 시 정신과 검진 또는 상담 등에 보험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건강보험체계 내에서 아동청소년을 상담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