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진 의원 "전담간호사 근무 안정성 위한 가이드라인 필요"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과 대한간호협회가 공동으로 실시한 '전공의 복귀 후 진료지원업무 수행 간호사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13일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담간호사의 62.3%가 전공의 복귀로 인한 부서 이동업무조정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10명 중에 5명 이상이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의 복귀가 본격화된 9월 이후, 진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투입됐던 전담간호사들이 부서 이동이나 업무조정을 사전 협의 없이 통보받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필요할 때만 쓰고 버리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간호계 관계자는 "전공의 복귀 이후, 전담간호사들에게 전공의가 기피하는 업무가 주어지고 있어 현장에 불만이 크다"고 말했다.
전담간호사의 47.9%가 부서 이동이나 업무조정으로 인해 업무 스트레스 증가, 사직 및 이직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사들 사이에 긴장감이 감돈다.
2024년 3월 1만 1388명이던 전담간호사의 수는 1만 8659명으로 급증했다.
이수진 의원은 "대부분의 전담간호사들은 전공의 복귀 후에도 진료지원업무 수행을 희망하고 있다"며 "복지부가 전담간호사의 근무 안정성 확보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료공백 속에서 간호사의 헌신이 없었다면 우리 사회가 겪어야 할 혼란이 더 컸을 것"며 "환자를 지켜 준 간호사를 국가가 보호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9월 22~28일 1085명의 전담간호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방식으로 진행됐다.
- 불법의료행위였던 진료지원 간호사 업무범위 드디어 제도화되다
- 政, 간호사 교대제 개선 시범사업 확대 추진
- 전공의 복귀 앞둔 수련병원, 뒤에서 '한숨' 쉬는 이유
- 간협, 진료지원업무 수행 전담간호사 '병원 연수제도' 비판
- 의정갈등 장기화 후폭풍···의료지원인력에 쏠리는 부담 심화
- 정부안에 부담 더 늘어난 전담간호사, 현장에선 ‘기피직종’
- 전담간호사 제도화 '동상(同狀)'…교육주체·업무범위 '이몽(異夢)'
- 전담간호사 봉합 등 진료지원업무 45개 행위로 통합 조정
- "체외순환사 업무 특수성과 전문성 인정하고 법제화해야"
- 대한전담간호사회 공식 출범…이미숙 회장 선출
- 간호사가 대도시 쏠림현상 뚜렷... 해외 유출도 늘어
- 진료지원간호사 근무 안정성 위기, 가이드라인 마련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