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성준 교수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성준 교수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성준 교수

 

치료 경과

상기 환자는 2020년대 초반 최초 시작된 환청과 망상, 두려움 등을 주소로 내원했다. 내원 4개월 전 안검하수 수술 시행 후 이상을 느꼈으며, 수술 시 의식이 있는 상태로 무서운 느낌을 받았다며 호소하는 등 원래 예민한 성격이었다. 두드러진 기분 문제는 없었으나 극심한 공포감으로 인해 망상이 동반되어 잡귀를 쫓아내는 제사까지 두 차례 시행하고 결국 입원했으며, 그 당시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점수는 102점이었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aripiprazole 10 mg 사용 후 망상 및 환청이 감소하며 PANSS 점수 78점으로 퇴원 조치했다<표 1>.

하지만, 퇴원 후에 망상이 다시 악화되는 양상을 보여, 머릿속에서 여러 명이 대화하며 행동을 할 때마다 관여하는 느낌이 든다고 보고했다. 보호자 보고상 일상생활은 안정적이지만 증상 때문에 힘들어한다고 해 효과가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3개월간 paliperidone을 함께 사용했으나 반응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초반에 효과를 보인 aripiprazole은 유지하고 paliperidone 대신 amisulpride를 사용해 부분적인 효과는 있었으나 여전히 잔류 증상이 명확했고, 이 과정에서 체중이 약 10 kg 가량 증가했다<표 2>.

결국 amisulpride 감량 후 체중에 영향이 적은 blonanserin을 16 mg까지 증량해 더 이상의 체중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지속적으로 잔류 증상은 관찰됐다.

잔류 환청이 지속되며 하느님 소리가 반복됐고, 체중 또한 10 kg 이상 증가해, aripiprazole 장기지속형 주사제(long-acting injectable, LAI)와 clozapine 사용에 대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했고, 잔류 증상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피검사가 수반되는 clozapine 대신 aripiprazole LAI를 선택했다. Aripiprazole LAI을 사용한지 8개월째, 여전히 환청이 지속되고 더 이상의 호전이 없어 lurasidone 40 mg을 추가하기로 결정했다<표 3>.

특별한 부작용이 없어 최초 투여 후 3개월 차에 1일 120 mg까지 증량했으며, 치료 시작 이후 처음으로 환청이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고 보고했고, 식욕도 회복됐다.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고 있으며 치료 만족도가 높아 타 약제를 감량하며 유지 치료 중에 있다<표 4>.

 

증례 해설

일상생활은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으나 명확한 잔류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 환자의 증상 개선을 위해 lurasidone을 처방했다. 이미 다른 항정신병약물을 충분한 용량 및 기간 동안 사용했고 그간 추체외로증상(extrapyramidal symptoms, EPS)나 체중 증가와 같은 부작용으로 인해 환자의 불편감이 증가된 상태였다. 이러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lurasidone을 추가했다. 투약 후 호소하는 부작용 없이 잔류 증상의 감소가 분명히 관찰돼 환자는 만족감을 드러냈으며 현재 다른 항정신병약물을 감량하고 lurasidone은 지속적으로 투여하고 있다.

 

고찰 및 결론

조현병의 치료에 있어 신약의 등장이 드물어 LAI의 사용 외에는 새로운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상황에 그 효과와 안전성이 이미 입증된 라투다®정의 국내 도입은 임상적으로 그 의미가 크다. 좌불안석증 혹은 오심과 같은 부작용이 종종 관찰되나, 식사와 함께 투여하고 저용량부터 점차적으로 증량하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겠다.

 

References

1. Correl C, et al. How to Interpret Findings Concerning Newly Approved Antipsychotic Agents: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Lurasidone PEARL 2 Study.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2;73(8): 27749.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