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김현수 교수팀, 2017~2023년 사포바이러스 검체 분석
국내외 유행 양상 동일···팬데믹 이후 증가세에 경각심 가져야
[메디칼업저버 손재원 기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사포바이러스 감염이 증가한 가운데, 기온이 높아지는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특히 감염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사포바이러스 감염은 주로 어린 아이들에서 나타나며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켜 설사, 발열, 복통, 구토 등 증상이 보편적이다. 심한 경우 탈수나 고열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하고, 면역력이 떨어지는 경우 중증으로 악화할 위험이 있다.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김현수 교수(진단검사의학과)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후 국내 사포바이러스 감염률 증가 수준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2017년 8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급성 위장관염이 의심돼 사포바이러스 검사를 받은 20만 4563개의 검체를 분석했다.
다중 PCR 검사를 통해 연령별·월별 사포바이러스 양성률을 확인하고, 코로나19 팬데믹 후 검출된 사포바이러스 유전자형 37개를 분석해 유행 양상을 살폈다.
분석 결과 국내 사포바이러스 감염률은 2017~2019년에 월간 최대 4.7%를 기록했고 팬데믹 기간이었던 2020~2021년에는 월평균 0.3%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2022년 여름 이후 월간 감염률은 2배 가까이 증가해 2022년 8월 9.9%와 2023년 9월 8.1%로 나타났다.
사포바이러스 감염은 주로 어린 아동에게 발생했으며 연령별 감염률은 2~5세가 6.5%로 가장 높았다. 6~10세가 3.2%, 1세 이하가 3%, 11세 이상은 모든 연령대에서 감염률이 1% 이하를 기록했다.
또 국내에서 유행하는 사포바이러스 유전자형 분석 결과 GI.1(42.5%)과 GII.3(40%)이 가장 많았다. GII.2와 GII.5 등은 5~7.5%에 불과했다.
GI.1은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사포바이러스 유전자형으로 국내 유행 양상도 세계적인 추세와 일치했다.
아울러 각 유전자형 간 뚜렷한 유전적 거리가 보고됐으며 유전자 간 재조합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향후 사포바이러스 백신이나 진단법 개발 시 중요한 유전적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포바이러스 감염의 유병률과 계절성, 유전형 분포를 확인했다"며 "코로나19 팬데믹 후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더불어 팬데믹 기간에 바이러스 노출이 줄어들면서 면역력이 저하한 것이 사포바이러스 감염률 급증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포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와 같은 칼리시바이러스 계열로, 2017년 전에는 장염 바이러스 패널 검사에 포함되지 않았고 국내 유병률도 낮은 것으로 여겨졌다"며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여름을 중심으로 감염률이 증가하고 있어 경각심이 필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씻기 등 위생관리가 중요하고, 음식은 깨끗하게 세척하고 충분히 익히거나 끓여서 먹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7월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