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난임지원사업 효과, 한약재 안전성, 부황·뜸 부작용 치료 등 주제 제안
대선 틈타 과학적 근거 없는 주장을 제도화하려는 시도, 용납 못해

(왼쪽부터) 대한의사협회 한방대책특별위원회 박상호 위원장, 이재만 부위원장
(왼쪽부터) 대한의사협회 한방대책특별위원회 박상호 위원장, 이재만 부위원장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여야 대선 후보와 함께 공개토론회를 개최하자는 대한한의사협회의 요청에 환영의 뜻을 밝히며, 부항·침 치료 후 합병증 대응도 토론 주제에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회(한특위)는 지난 13일 성명서를 통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앞서 지난 8일 기자회견을 열고 △한방 난임지원사업의 효과성과 과학적 근거 △한의약 처방에서의 중금속(납·수은) 약재 사용 안전성 △한의대와 의대 교육과정의 비교 검토 △한방 진단서의 법적 효력 및 공신력 문제 등을 주제로 대국민 공개토론회를 공동 개최하자고 한의협에 제안한 바 있다. 

한특위는 성명서에서, 부항·침 치료 이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과 감염을 한의사가 치료할 수 있는지도 주제에 추가하자고 제안했다. 

한특위는 "세계보건기구(WHO)도 전통의학의 활용 시 표준화되지 않은 시술과 불충분한 과학적 근거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며 "응급 상황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철저한 의과 교육을 받은 의사들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암세포가 증식해 다른 장기에 침범하면 정상 세포들이 폐사하고 끝내 장기 전체가 망가진다"며 "한의협은 본연의 자리를 지켜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특위는 대선 정국을 틈타 의학적 타당성이 없는 주장을 제도화하려는 한의협의 시도는 결코 용납할 수 없으며, 앞으로도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왜곡된 주장에 단호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