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환자실 관리체계 마련 시범사업 추진…중환자의학회 위탁 운영
올해 예산 13억원 편성해 30개 상급종병 및 종합병원 현황 파악 진행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국내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들의 중환자실 실태 파악과 통합관리를 위한 기반이 마련된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중환자실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시범사업 위탁 사업자를 공모하고, 대한중환자의학회를 위탁사업자로 선정했다.
복지부 출입전문기자협의회 취재결과, 중환자실 관리체계 마련 시범사업은 병원별 중환자실 역량을 파악해 최종적으로 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취지다.
중환자실은 상급종합병원 간, 종합병원 간 인력 및 시설, 장비와 운영체계 등 그 역량에 차이를 보인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코로나19(COVID-19) 팬데믹 당시 정부는 전국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중환자실 현황을 통합적으로 파악하지 못해 각 의료기관에 개별적으로 연락해 현황을 파악한 바 있다.
복지부 응급의료과 송영조 과장은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중환자실이 모두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며 "이번 시범사업은 어느 정도의 중환자실을 구축하고 있는지, 어떤 운영체계를 갖고 있는지 등 정보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단순한 장비와 인력 수준 등 구조적인 부분을 넘어 실제 병원이 수용하고 있는 중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하고 진료 역량이 어느정도인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는 단순 인력이나 장비, 시설로는 파악이 불가능하다. 실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해야 알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응급실은 응급의료법에 따라 정보 시스템이 구축돼 있으며,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중환자실 관리는 이런 법적 근거가 없어 병원마다 운영체계 등이 제각각이다.
송 과장은 "복지부도 전국 중환자실 정보나 중환자실 통합관리 시스템이 없다"며 "코나19 당시 각 병원에 중환자실이 얼마나 찼는지, 어떤 환자를 받을 수 있는지 개별적으로 확인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장기적으로 전국의 중환자실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게 복지부의 판단이다.
조영대 사무관은 "시범사업을 통해 각 병원에 현황 조사인력들이 직접 방문해 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를 수집한 이후 어떤 식으로 체계화할 것인지 논의하면서 시스템 구축까지 고려하고 있다"며 "일단 올해 상반기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할 것"이라고 전했다.
응급의료과는 이번 시범사업을 위해 올해 13억원의 예산을 편성한 바 있다. 13억원 중 3억원은 ISP에 투입되고, 나머지 10억원은 30여개 병원에 직접 방문해 정보를 수집하는 인력의 인건비로 활용된다. 정보 수집 인력은 중환자의학회가 숙련된 간호사들을 모집해 각 병원에 투입할 예정이다.
송 과장은 "정부는 의료전달체게 개편 및 필수지역의료 강화를 위해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 포괄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중환자실 수가 개선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시범사업 역시 중환자실 보상 강화에 대한 대가성 개념은 아니지만, 지원을 확대하면서 현황은 파악해야 한다는 개념으로 이해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환자실은 필수의료의 핵심이지만 응급실에 비해 너무 관리가 안되고 정보가 없는 상황"이라며 "시범사업을 통해 정보를 체계화하고, 적정 보상을 위해 중환자실의 수준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시범사업 참여 기관은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등 30여 곳을 예상하고 있지만 확정된 것은 아니다. 중환자의학회가 각 병원들과 정식 계약을 체결해야 명확하게 확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