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경영인 그룹 협의체 7인, 현 경영 체제 지속 중요성 강조
"거버넌스 이슈와 한미약품 사업 분리돼야…주주가치 위한 길"

[메디칼업저버 배다현 기자] 임시주주총회를 한주 앞둔 한미약품이 주주들에게 전문경영인 체제 지속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회사의 각 사업본부장 등으로 구성된 '전문경영인 그룹 협의체'는 11일 입장문을 내고 주총에서 박재현 대표 중심의 현 체제 지속을 위한 선택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한미약품 박재현 대표는 최근 인터뷰를 통해 "나 혼자만 잘한다고 되는 문제가 아니라, 여러 본부장들과의 끊임없는 소통과 협력을 통한 최고, 최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만든 시스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가 말하는 의사결정 시스템의 토대는 사내 '전문경영인 그룹 협의체'와의 소통과 협력이다.

한미약품의 전문경영인 그룹 협의체는 ▲국내사업본부 박명희 전무 ▲신제품개발본부 김나영 전무 ▲R&D센터 최인영 전무 ▲글로벌사업본부 신해곤 상무 등 4인과, 팔탄사업장 제조본부 김병후 상무, 평택사업장 제조본부 김세권 상무, 제제연구소 임호택 상무 3인으로 구성된다. 

국내사업본부장 박명희 전무는 "한미약품은 전문의약품 매출로 확보한 캐시카우를 혁신적인 신약개발과 신제품 개발에 적극 투자 하고 있다"며 "이러한 임성기 선대 회장의 '한국형 R&D 전략'이 가능한 이유는 국내사업본부의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통한 성장을 박재현 대표가 강력히 지지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한국형 R&D 선순환 구조는 한미약품이라는 거함이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한 몸처럼 움직여야만 가능한 일"이라며 "각 본부의 유기적 관계를 박재현 대표가 중심에서 잘 잡아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신제품개발본부장 김나영 전무는 박재현 대표의 리더십을 강조했다.

그는 "한미약품은 '퍼스트무버'로서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을 개척하기에 많은 리스크를 안고 개발을 진행하게 되는데, 박 대표의 적극적 지지가 있기에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신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며 "신제품을 개발하다 보면 각 본부와 이견이 발생할 때도 있는데, 특유의 부드러운 리더십으로 각 본부를 잘 연결한다"고 전했다. 

회사는 박 대표에게 글로벌 경험이 없다고 지적하는 지주회사의 의견에 반박하며 '아모잘탄'의 유럽 실사를 주도해 성공시킨 사람이 박 대표라고 설명했다. 

글로벌사업본부 해외영업을 맡고 있는 신해곤 상무는 "최근 북경 상해의약과 협력, 사우디 타북과의 파트너십 체결, 중남미 지역의 한미 복합제 지속 진출 등 새로운 시장 개척은 박 대표와 글로벌사업본부간의 매우 긴밀한 소통을 통해 이뤄낸 성과"라고 말했다. 

(왼쪽부터) 팔탄사업장 제조본부 김병후 상무, 평택사업장 제조본부 김세권 상무, 제제연구소 임호택 상무
(왼쪽부터) 팔탄사업장 제조본부 김병후 상무, 평택사업장 제조본부 김세권 상무, 제제연구소 임호택 상무

제제연구소를 총괄하는 임호택 상무는 한미약품이 타 제약사보다 더 빠르게 제제연구에 착수할 수 있는 힘이 박 대표의 리더십에서 나온다고 강조했다. 

임 상무는 "지난 1992년 신설된 제제연구소는 박재현 대표가 한미에서 업무를 시작한 첫 번째 부서"라며 "그만큼 제제연구에 대한 애정도 클 것이라 생각한다. 한국 제약산업에서의 제제연구는 속도전이 가장 중요한데, 박 대표를 중심으로 신제품개발본부, 제조본부, 제제연구소가 하나의 체인처럼 유기적으로 연결돼있다"고 말했다. 

평택사업장 제조본부 김세권 상무는 "한미와 함께 한 박재현 대표의 30년은 값으로 평가할 수 없는 한미의 자산"이라며 "한미약품이 무엇을 잘 할 수 있고, 잘 해낼 수 있는지, 반대로 한미가 할 수 없는 분야와 해서는 안 되는 일에 대해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그동안의 어려움을 딛고 다시 도약하고 있는 한미 바이오플랜트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라도 박 대표의 리더십은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미약품은 측은 최근 1년여간 지속돼 온 거버넌스 이슈는 차치하더라도, 현재의 우수한 전문 경영인 그룹 협의체를 통한 올바른 의사결정 시스템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회사는 "급변하는 헬스케어 시장을 선두에서 이끌어 나가기 위해 필요한 것은 '1명의 결정'이 아닌, 전문가들의 유기적 소통과 협력에 기반한 최선의 의사결정"이라며 "다가오는 19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의 올바른 선택의 결과로 귀결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