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3~29일 2024년 세계알레르기주간 맞아 국내 캠페인
검사 양성 나와도 알레르기 아닐 수 있어...전문의 진료 통한 정확한 진단 강조

[메디칼업저버 배다현 기자]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는 세계알레르기 주간을 맞아 국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세계알레르기기구(World Allergy Organization, WAO)는 전 세계 111 개 지역 및 국가 알레르기학회와 임상면역협회로 구성된 국제연합이다. 

매년 세계알레르기주간(World Allergy Week)을 정해 현시점에 가장 중요한 알레르기질환을 선정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도록 독려하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2024년 세계알레르기주간(6월 23~29일)의 주제는 식품알레르기(OVERCOMING FOOD ALLERGY OBSTACLES)다. 

이에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는 국내 알레르기주간 캠페인을 주제를 '식품알레르기: 제대로 알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로 정하고 대중 인식 증진을 위한 세부 부제를 선정했다. 

식품 알레르기는 최근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증 급성 질환인 식품 아나필락시스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식품 및 물질에 대한 아나필락시스도 증가 추세에 있어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음식을 먹고 불편을 겪는 것이 모두 알레르기 반응은 아니다. 식품 알레르기는 특정한 식품 섭취 직후에 두드러기, 구토 등 불편한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 의심한다.

문제는 현실에서 식품 알레르기로 생각하는 불편한 반응이 실제로 알레르기가 아닌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특히 소아에서 정확한 진단없이 불필요한 식이 제한 등으로 영양소 부족과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진단이 우선시돼야 한다.

학회 측은 "특히, 알레르기 전문의 진료없이 혈액검사 등의 알레르기검사 만으로 식품 알레르기로 판단하고 식이 제한을 하는 것 큰 문제"라고 설명했다. 

통상적인 알레르기 검사 결과만으로는 식품알레르기를 진단하고 식이 제한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알레르기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더라도 아무런 이상반응이 없는 경우가 있다.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는 "식품 알레르기는 반드시 알레르기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하고, 식품 알레르기로 진단된 경우, 피해야 할 식품의 범위와 안전한 대체 식품을 명확히 하여야한다"며 "소아청소년의 경우 학교 등의 기관에서의 관리를 위해 알레르기 전문가의 소견서를 제출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당부했다.

학회는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인식 증진을 위해 유튜브 채널에 교육, 홍보 영상을 게시하고 세계알레르기주간 포스터를 제작해 배포했다. 

이를 통해 각 기관과 병의원에서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홍보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