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 17일부터 휴진 결정
김영태 서울대병원장 "환자 진료가 중단되지 않도록 해달라" 호소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가 17일부터 전체 휴진을 결정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가 17일부터 전체 휴진을 결정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전공의 집단 사직 문제가 정부와 의사 간 갈등에서 병원 내부 교수와 경영진 갈등으로 이동하는 모양새다.

6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6월 17일부터 전체 휴진을 결정한다고 발표했다.  

비대위는 "지난 100여 일 동안 다양한 방법으로 정부의 정책과 행정명령의 부당함을 부르짖어 왔지만, 정부는 아직까지 강제 노동을 거부한 젊은이들을 범법자로 취급한다"며 "수련생들이 병원을 떠난 후 중증, 응급 환자의 치료가 지연되는 것이 비정상적인 시스템 때문이 아닌, 전공의들이 의사의 책무를 저버렸기 때문이라고 호도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6월 17일 이후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에서 진료받는 환자분들은 병원 진료를 미루어 주시길 부탁드린다"며 "중환자실과 응급실 등의 필수 진료는 이전보다 더 강화해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김영태 병원장 "의사로서 첫번째 의무는 환자 진료"

비대위가 전체 휴진을 결정하자, 7일 서울대병원 김영태 병원장은 환자 진료가 중단되지 않도록 해달라는 호소문을 교수들에게 이메일로 보냈다. 

김 원장은 비대위의 이번 결정이 심각하고 중대한 문제에서 비롯된 것임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환자 진료가 중단되지 않기를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의사로서 우리의 첫번째 의무는 환자 진료다. 특히 중증 환자와 암환자 등 심각한 질환을 앓는 환자가 대다수인 우리 병원의 진료 중단은 환자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고 우려하며 "국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서울대병원이 이루어낸 성과를 한순간에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걱정했다. 

이어 "대다수 전공의가 안전한 복귀를 통해 병원 기능을 정상화해 국민의 건강권을 빠르게 회복하고, 미래 우리나라 의료 시스템의 발전시키려는 것임을 잘 이해하고 있다"며 "그러나 그 목표를 위해 휴진을 통한 투쟁보다는 대화를 통한 중재자의 역할을 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전공의 수련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병원장으로서 전공의 수련제도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병원장으로서 큰 책임을 느낀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를 위해 국가중앙병원으로서 전공의 수련 혁신을 위한 TF를 누구보다도 앞장서서 가동하고, 병원에서 전공의 수련 혁신 과제를 심도있게 추진하고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도 빠르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병원장은 "업무 이탈과 관련해 향후 처분의 우려가 있음을 잘 알고 있다. 따라서 병원장으로서 전공의에게 일체의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를 할 것을 약속한다"며 "복귀 전공의의 안전은 제가 책임지겠으니 교수님들께서는 집단 휴진에 대한 결정을 거두어 주시기를 부탁드립다"고 호소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