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대한환자안전학회, 건국대병원에서 정기학술대회 개최
서울대병원 조은주 팀장 "PDA를 이용한 환자 확인 시스템 만족도 높아"

29일 대한환자안잔학회가 건국대병원에서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29일 대한환자안잔학회가 건국대병원에서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임상 현장에서 수혈로 인한 오류를 줄이려면 의료인 간 오류 사례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병원 내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차 커지고 있다.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이 2017년~2021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수혈 관련 오류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혈 관련 오류는 2018년 36건(0.4%), 2019년 33건(0.3%), 2020년 29건(0.2%), 2021년 36건(0.3%), 2022년 41건(0.3%) 등으로 조사됐다. 

2022년 환자안전 통계연보에 따르면, 위해정도별 수혈 관련 오류 현황을 보면 근접오류 5건, 위해없음 19건 경증 12건 중등증 사망 2건 등 총 41건이 보고됐다. 특히 중대한 환자안전사고보고 건수는 2건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9일 건국대병원에서 열린 대한환자안전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서울대병원 조은주 QPS팀장은 수혈 관련 오류를 줄이려면 적극적인 사례 공유가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29일 건국대병원에서 열린 대한환자안전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서울대병원 조은주 QPS팀장은 수혈 관련 오류를 줄이려면 적극적인 사례 공유가 필요하다고 발표했다.

29일 건국대병원에서 열린 대한환자안전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서울대병원 조은주 QPS팀장은 수혈은 가이드라인이 잘 마련돼 있고, 간단한 과정이지만 오류가 종종 발생한다고 우려했다.

조 팀장은 "병원에서 발생하는 수혈 관련 오류는 수술 중 혈액냉장고에서 여러 개의 혈액을 꺼내면서 다른 환자의 혈액을 섞어 가져가거나, 처방과 다른 날짜의 조혈모세포 채집분을 수혈, 혈액과 다른 약물을 같은 IV 라인으로 주입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조 팀장은 이 같은 수혈 관련 오류를 예방하려면 혈액 수령 시 정확한 혈액수령라벨(수혈라벨 등) 지참하고, 환자 및 혈액 정보를 혈액은행 직원과 수령하는 직원이 함께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혈액백 라벨정보, 의사의 처방, 적합시험보고서 내용이 모두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 팀장은 "수혈 할 때 수혈 환자 바로 옆에서 의료인 2인이 정확한 환자 및 혈액 정보 확인해야 하고, PDA로 환자 팔찌와 혈액백 바코드를 스캔해 환자 및 혈액 정보를 체크해야 한다"며 "환자에게 개방형 질문으로 이름 및 혈액형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수혈 관련 오류를 줄이기 위한 여러 아이디어 중 PDA를 이용했을 때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조 팀장은 "병원에서 RFID/바코드(QR)를 사용해 처방정보와 환자를 인식하고, 환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때는 알람이 울려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며 "간호사가 진술문 선택하면 간호일지에 자동입력되고, 선택한 진술문 내용이 코사인 필요한 겨우 자동으로 코사인 로그인 화면이 생성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혈 부작용 환자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수혈 부작용 발생 시 Alert 발생일, 혈액종류, 및 증상 처치 기록이 뜨도록 돼 있다"며 "수혈 부작용 있는 환자에게 수혈 오더 발생 시 팝업 알람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