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W 2024] 중등도~중증 크론병 환자 대상 임상3상 GALAXI 2,3 결과 공개
트렘피어, 모든 내시경적 평가 변수서 스텔라라 및 위약군 대비 높은 효과
[메디칼업저버 배다현 기자] 얀센의 인터루킨(IL)-23 억제제 트렘피어(성분명 구셀쿠맙)가 크론병에서 자사의 IL-12/23 억제제 스텔라라(성분명 우스테키누맙) 대비 우수한 효과를 입증했다.
지난 21일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소화기질환주간(DDW 2024)에서는 중등도~중증 활동성 크론병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트렘피어의 임상3상 GALAXI 2, 3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연구 결과 트렘피어로 치료받은 환자는 위약 및 스텔라라로 치료 받은 환자와 비교해 반응률 및 관해율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GALAXI 2, 3 연구는 크론병에서 트렘피어의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이중 맹검, 위약 대조 방식의 임상3상 연구로 각각 독립적이고 동일하게 설계됐다.
연구는 면역조절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 기존 치료법 또는 TNF 억제제 등 생물학적 제제에 부적절한 반응을 보이거나 반응이 없는 중등도~중증 크론병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각각 508명, 513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했다.
두 연구에서 48주 동안 트렘피어를 8주마다 100mg(8주 투여군), 4주마다 200mg(4주 투여군) 투여한 두 용량군은 모든 공동 1차 목표점에서 위약 및 스텔라라 투여군 대비 유의하게 높은 효과를 보였다.
공동 1차 목표점은 내시경적 반응, 내시경적 관해, 임상적 관해 및 내시경적 반응, 깊은 관해, 임상적 관해로 설정됐다.
내시경적 반응은 크론병 단순 내시경 점수(SES-CD)가 기준선 대비 50% 이상 개선된 것으로 정의했다. 내시경적 관해는 SES-CD 4점 이하, 기준선 대비 2점 이상 감소, 개별 구성 항목에서 하위 점수가 1점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했다.
임상적 관해는 크론병 활동 지수(CDAI) 150점 미만으로 정의됐으며, 깊은 관해는 임상적 관해와 내시경적 관해를 포함하도록 구성됐다.
내시경적 반응 도달률, 트렘피어군 52.7% vs 스텔라라군 37.1%
연구 결과, 내시경적 반응에 도달한 환자 비율은 트렘피어 4주 투여군 52.7%(p<0.001), 8주 투여군 47.9%(p=0.09), 스텔라라군 37.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내시경적 관해 도달률은 각각 37.2% (p=0.001), 33.2% (p=0.024), 24.7% 순이었다.
임상적 관해 및 내시경적 반응에 도달한 환자 비율은 각 47.3%(p<0.001), 41.6%(p=0.049), 33.7%였으며, 깊은 관해 도달률은 33.8%(p=0.002), 29.7%(p=0.040), 22.3%로 나타났다.
임상적 관해에 도달한 환자 역시 각 70.3%(p=0.058), 65.4%(p=0.512), 62.9%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트렘피어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현재까지 승인된 적응증에서 나타난 것과 일치했다. 48주차까지 최소 1회 이상의 이상반응, 1회 이상의 심각한 이상반응 및 치료 중단으로 이어진 이상반응을 경험한 환자 수는 트렘피어군, 스텔라라군, 위약군 환자 간에 유사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캐나다 캘거리 의대 Remo Panaccione 박사는 "두 개의 이중 맹검 GALAXI 3상 연구는 중등도~중증 활동성 크론병 환자를 대상으로 위약 대비 이중 작용 IL-23 억제제 트렘피어의 단기 및 장기 효능을 독립적으로 확립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으로 쇠약해지는 증상을 경험하는 환자들에게 유망하다"며 "트렘피어가 미래의 첫번째 치료법 또는 다른 최신 치료법의 실패 후 환자들의 질병 부담을 덜어줄만한 지속적인 관해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한편 얀센은 특허 절벽을 맞은 스텔라라를 대체하기 위해 트렘피어의 다양한 적응증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
스텔라라는 현재 판상 건선과 활동성 건선 관절염 치료에만 승인된 상태로, 크론병 뿐만 아니라 궤양성 대장염을 대상으로도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에 염증성 장질환 분야에서 트렘피어가 스텔라라를 대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얀센은 지난 3월 미국식품의약국(FDA)에 트렘피어의 중등도~중증 성인 활동성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허가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다. 이 달에는 유럽의약품청(EMA)에 트렘피어의 궤양성 대장염및 크론병 적응증 허가를 동시에 신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