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재택의료학회, 제2회 춘계 심포지엄 성료…질 관리방안 집중 논의
재택의료센터 사업 모델 고도화돼야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재택진료 시 환자 안전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국내 제도 표준을 설정하고, 가이드 라인 및 인증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대한재택의료학회가 지난 12일 서울 역삼동 삼정호텔 2층 라벤다홀에서 ‘제2회 춘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재택의료, 질 관리 및 인증 필요한가?’를 주제로 열린 이번 심포지엄에는 국내외 재택의료 전문가들이 연사로 나서 초고령사회의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으로 대두된 재택의료의 질적 성장을 위한 도전과 과제를 논의했다.
먼저 재택의료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임종한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회장(인하대 의대 교수)은 “질병의 발생원인과 환자가 제대로 치료되지 않는 이유를 세밀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해외 재택의료에 대한 시선도 집중됐다. 미국은 재택의료 인증제도를 통해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환자 입원율을 낮추고 있다. 이러한 인증제도는 소비자 신뢰를 촉진시키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
일본은 시설 기준과 가산 기준 세분화하고, 2년에 한 번씩 재택의료 보상 기준을 개정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재택의료를 촉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재택의료를 하고 있는 서울신내과의원 이상범 원장은 “수가 개선 외에도 주거환경, 보호자와의 갈등 조정 등 다양한 사례들에 관리하고 대응할 가이드라인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봄연합의원 이충형 원장은 “질적인 재택의료가 가능하려면 환자 중심의 다학제팀 구성과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라며 “고도화된 사업 모델 확립 및 모니터링과 더불어 중증환자에 대한 사례 관리료 가산 등 합리적인 경제적 보상을 통해 질적 성장을 동시에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여러 영역의 연계과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 중이라는 설명이다.
보건복지부 정성훈 급여과장은 “정부도 개별 시스템 모형보다 보다 큰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며 “여러 영역의 연계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