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mRNA 백신 주권 확보 방안 간담회 13일 개최
백신 개발 기업 의견 청취 등 통해 방안 구체화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질병관리청이 2027년까지 국산 mRNA 백신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에 따른 후속 조치로 마련한 미래 팬데믹 대비 mRNA백신 주권 확보 방안에 대해 제약업체, 관련 협회와 함께 논의하기 위해 5월 13일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지영미 질병청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제약 업계 CEO 및 담당자 등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질병청은 27년까지 mRNA백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소개하고, 기업별 백신 개발 추진 현황 및 애로사항 등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질병청은 지난해 12월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계획에 따른 시행계획을 수립해 다음 팬데믹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우선순위 감염병을 선정(백신 9종)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신변종 감염병 mRNA백신사업단을 운영해 mRNA 구조체 및 전달체 기술 등 핵심 요소기술 개발과 임상시험 진입을 위해 (비)임상 과제를 지원한 바 있다.

또 질병청은 지난 4월 mRNA 백신 국산화를 위한 ‘미래 팬데믹 대비 mRNA백신 주권 확보 방안’을 마련해, 관계부처와 국산 mRNA백신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한 계획을 논의했다.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재정 및 행정 지원을 통해 민-관이 협력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국산 코로나19 mRNA백신을 오는 2027년까지 개발할 계획으로 개발기업 및 관련 기관과 소통하고 협의해 세부 지원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질병청은 앞으로도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백신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관련 개발 기업과 협회 등과 협력해 mRNA백신이 신속히 국내에서 개발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