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2017~2021년 등통증 질환 진료현황 발표
환자, 2017년 512만⟶2021년 546만으로 증가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등 통증 환자 증가율이 연평균 1.6%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16일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등통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 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7년 512만 3996명에서 2021년 546만 4577명으로 34만 581명(6.6%)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21년 236만 1333명으로 2017년 213만 3989명 대비 10.7% (22만 7344명), 여성은 2021년 310만 3244명으로 2017년 299만 7명 대비 3.8%(11만 3237명)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40~60대 환자가 54.9%(300만명)를 차지했다. 60대가 20.4%(111만 5710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9.1%(104만 1405명), 40대가 15.4%(84만 1352명) 순이었다.
등 통증 환자의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17년 8148억 원에서 2021년 1조 1883억 원으로 2017년 대비 45.8%(3,735억 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9.9%로 나타났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는 2017년 15만 9000원에서 2021년 21만 7천 원으로 36.8% 증가했으며, 성별로는 남성 2017년 14만 7000원에서 2021년 20만 5000원으로 39.7% 증가, 여성은 2017년 16만 8000원에서 2021년 22만 7000원으로 35.3%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장우 교수(재활의학과)는 "등통증은 신체의 퇴행성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외상을 비롯해 유연성 부족과 근력 저하, 잘못된 자세, 반복적 부하가 나이가 들수록 원인으로 작용해 등통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