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헌 의원 “마약 도난·분실된 업체는 관리감독 강화해야"

        국민의힘 백종헌 위원
        국민의힘 백종헌 위원

[메디칼업저버 손형민 기자] 최근 유명 작곡가 겸 사업가가 필로폰 1000회 투약할 수 있는 양을 소지해 체포되는 등 마약류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 강화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백종원 의원이 제출받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에 따르면 의료기관, 도매업자 등의 관리소홀로 인해 도난, 분실, 변질, 파손 등 마약사고가 2017년부터 올해까지 총 16206건, 6971개소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마약 불법투약 범죄로 이어질 수 있는 도난은 166건, 분실은 151건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업종별 사고마약률을 살펴보면, 병원 및 의원 등 의료기관이 14531건으로 전체의 896%를 차지했다. 

또 2017년부터 올해 6월까지 마약류 도난·분실 건수, 수량을 확인한 결과, 총 317건이 발생헸고, 의약품 수량은 62005개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5년간 도난·분실당한 의료용 마약은 졸피뎀 등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불법투약 등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이 매우 큰 상황이다. 

이에 대해 백 의원은 식약처가 도난·분실 의료용 마약류에 대해 제대로 파악을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현재 도난·분실 등의 사건 발생 시 경찰과 식약처에 보고를 하고 있으나. 범죄에 사용될 수 있는 사고마약류를 파악할 수 있는 경찰의 경우 구체적인 수사내용이나 도난·분실한 의약품의 소재 등에 대해서는 반기별로 관련 내용을 보고 받고 있다. 

또 종업원에 대한 지도·감독을 철저히 실시하지 않아 도난사고가 발생한 경우 행정처분을 부과하고 있으나, 도난·분실이 발생한 업체에 대한 마약류 저장시설 장소 CCTV 또는 무인경비장치 설치는 권고사항에 그치고 있는 상황이다. 

백 의원은 “도난·분실된 의료용 마약류에 대해 식약처의 관리감독에 대한 의지가 부족했고, 수사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방관만 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식약처는 마약 도난·분실된 업체에 대해서는 CCTV 또는 무인경비 장치 설치를 의무화 해야하고 종업원에 대한 지도·감독 시스템을 만들어 철저한 사고 마약류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