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등 고위험군은 기존 치료제 효과가 불충분할 경우 사용
[메디칼업저버 손형민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염증성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야누스키나제(JAK) 억제제에 대한 효능·효과 및 사용상 주의사항 변경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변경이 추진되면 일반 환자들은 기존과 동일하게 사용 가능하나 65세 이상, 심혈관계 고위험군, 악성종양 위험 등의 고위험 환자군은 기존 치료제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야누스키나제는 면역·염증을 조절하는 효소인 JAK 작용을 차단해 염증을 줄여 류마티스 관절염 등 여러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국내에는 5개 성분(토파시티닙, 바리시티닙, 유파다시티닙, 아브로시티닙, 필고티닙), 65개 품목이 허가돼 있다.
식약처는 이번 조치를 위해 △미국·유럽에서 실시한 토파시티닙·바리시티닙 성분 제제 시판 후 조사 결과 △대한의사협회 등 전문가 단체 의견 △미국·유럽 등 해외 규제기관의 조치사항을 종합해 중앙약사심의위원회와 전문학회의 자문을 받았으며, 최근 실시한 국내 이상사례 분석 결과도 검토했다.
이번 변경은 지난해 9월 의약품 안전성 서한 배포 이후 진행된 안전성 검토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로, 식약처는 추후 의견조회 절차를 거쳐 7월 중 허가사항을 변경하도록 명령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