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안스데반 교수팀, 동양인 대상 HLA 유전자 다형성 최초 연구
교모세포종 환자 HLA-C*04:01 유전자 빈도 높아

▲서울성모병원 안스데반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국내 연구팀이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 발생 위험을 높이는 면역유전자를 규명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안스데반 교수(교신저자), 최상수 전공의(제1저자) 연구팀은 교모세포종 발생 위험을 높이는 인간백혈구항원(HLA) 유전자의 세부 유형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2018~2019년 서울성모병원에서 교모세포종을 진단받은 환자 80명과 정상 대조군 142명의 HLA 면역유전자 유전체 정보를 분석·비교했다. 

그 결과,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HLA-C*04:01 유전자 빈도가 2.29배까지 높았다. HLA-A*26:02 유전자 빈도는 0.22배, HLA-C*08:01은 0.29배, HLA-DRB1*08:03은 0.32배로 나타났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흔한 악성 뇌종양인 신경교종(glioma) 중 대표적 유형이다. 수술 및 항암 방사선의 표준치료를 모두 받더라도 평균 생존율은 2년이 안 되는 예후가 불량한 뇌암이다. 

불치에 가까운 교모세포종에 대한 새로운 치료전략으로 면역항암치료제가 제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교모세포종과 면역시스템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 및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HLA는 신체의 모든 유핵 세포 표면에 발현돼 있다. 신체의 면역체계가 어느 세포가 '자기(self)'인지, 어느 것이 '외부' 또는 '비자기(non-self)'인지 구별하는 것을 도와준다. '비자기'로 인식되는 모든 세포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HLA 유전체는 수많은 대립유전자를 갖고 있으며 이를 다형성이라고 표현한다. 유전적 다형성에 따라 장기이식여부, 자가면역질환 등 발생 위험이 결정된다. 

HLA 유전자의 다형성과 질병 발생 위험의 연관성은 면역반응이 중요한 병인으로 밝혀진 자가면역질환 및 혈액질환에서 연구가 활발히 이뤄졌으나, 교모세포종과의 연관성은 현재까지 잘 정립되지 않았다. 

특히 HLA 유전자의 다형성은 인종마다 다른 분포를 나타내는데, 동양인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HLA 유전자의 다형성에 대한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다.

안스데반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동양인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면역유전자와 교모세포종 발생의 관계를 처음으로 제시했다"며 "불치에 가까운 교모세포종과 면역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이해해 새로운 면역항암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교육부가 주관하고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창의도전연구 기반지원)을 통해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PLoS One 최근호에 실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