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패스 등 접종완료자 중심 방역완화 체계 논의 예정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13일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일상회복 지원위원회가 출범한 가운데, 일상회복 시점을 국민 70% 이상 접종완료 및 방역의료 대응에 여력이 충분한 상황에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3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지원위원회와 관련해 설명했다.
손 반장은 일상회복 시점에 대해 정확하게 특정하지 않고 있다며, 전 국민 70% 예방접종이 완료되고, 방역상황과 의료대응상황의 여력이 충분한 상황에서 체계가 전환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예방접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이런 상황과 확진자 동향 등을 비롯한 방역상화, 중환자실 및 감염병전담병원 등 의료체계 여력 등을 고려해 체계 전환의 1차 시점으로 결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손 반장을 최근 백신 패스와 관련해 단계적 일상회복 지원위원회에서 논의됐는지 기자들의 질의에 대해 1차 회의 성격상 총론적인 부분들만 의견이 개진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과정에서 백신 패스라고 하는 하나의 정책 의제에 대해 구체적인 의견들은 개진되지 않았다"며 "향후 논의할 여러 의제 속의 하나로써 소개는 됐다"고 했다.
방역·의료분과를 중심으로 백신 패스 개념의 접종완료자 중심으로 한 방역완화 체계들을 논의하게 될 예정이라는 것이다
손 반장은 "현재 방역체계에서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체계를 전환 과정에서 전체 유행 규모가 증가하는 것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과 방역 및 의료대응을 강화시킬 것"이라며 "어떤 지표를 중심으로 판단하고, 어떻게 사회적으로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함께 로드맵에 담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일상회복을 위한 기대감이 올라가고, 정부도 이를 위해 사회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준비절차를 밟는 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며 "일상회복을 위한 준비와 별개로 현재 방역상황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일정 정도의 방역적 긴장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