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부터 코로나19 치료병원 기본접종 6개월 지난 종사자 추가접종
단계적 일상회복 안전환 전환 위해 면역형성 인구 최대한 확보 필요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18세 이상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률이 11일 기준 90.4%, 접종완료율이 68.9%를 기록했다.

김기남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접종기획반장.
김기남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접종기획반장.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 김기남 접종기획반장은 11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1차 접종자는 총 3992만명으로 인구 대비 77.7%이며, 이 중 접종완료자는 3044만명으로 인구 대비 59.3%에 해당된다고 밝혔다.

전체 인구가 아닌 18세 이상 성인으로 대상으로 하면 1차 접종률은 90.4%, 접종완료율은 68.9%라는 것이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 1차접종률은 932.1%, 접종완료율 89.1%, 50대는 1차접종률 94.0%, 접종완료율 90.6%였다.

18~49세는 1차접종률 88.9%, 접종완료율 48.8%로 집계됐다.

김 기획반장은 "현재 18세 이상 연령층에 대한 2차접종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10월 중 18~49세 청장년층을 중심으로 2차접종이 집중적으로 진행돼 10월 중 인구대비 70% 이상 접종완료도 차질없이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1차접종을 안한 국민 중 접종 참여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며 "조만간 누적 1차접종자 수가 4000만명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현재 16~17세 소아청소년 및 임신부 접종과 60세 이상 및 고위험군 대상 추가접종에 대한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이 진행 중이다.

11일 0시 기준으로 소아청소년은 약 42만명이 예약했고, 임신부는 약 2000명, 추가접종은 약 4만명이 예약했다.

김기남 기획반장은 12일부터 코로나19 치료병원 종사자 중 기본접종 후 6개월이 지난 종사자들에 대한 추가접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지난 3월부터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행한 코로나19 치료병원 약 160개소가 대상이다.

추가접종은 화이자 백신으로 실시되고, 접종은 해당 의료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진행된다.

김 반장은 "코로나19 치료병원은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거점전담병원, 감염병전담병원, 중증환자 치료병상 의료기관으로, 해당 기관의 종사자 약 4만 5000명이 12일부터 순차적으로 추가접종 받게 된다"며 "의료기관별로 추가접종 대상자를 사전 조사해 기관별로 백신 배송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의료기관에서는 코로나19 예방접종관리시스템을 통해 접종대상자별 1차, 2차 접종이력 및 백신종류를 철저히 확인한 후 예방접종을 시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12일부터 75세 이상 노인 376만명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시작한다.
또 14일부터는 생후 6개월~13세 어린이 553만명 중 1회접종 대상자의 인프루엔자 예방접종이 시작된다.

만 2~13세 어린이 중 계란 아나필락시스 환자 또는 중증 계란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는 14일부터 각 시도별로 지정된 보건소나 위탁의료기관에서 세포배양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접종이 가능하다.

해당 환자는 의사의 소견서나 진단서, 의뢰서 등을 지참하고 지정 기관에 사전에 접종가능 여부 확인 후 방문해야 한다.

김 반장은 "지난 5일부터 75세 이상 어르신 대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사전예약이 진행되고 있다"며 "접종 초기에 접종대상자 분산을 위해서는 사전예약을 하고 의료기관을 방문해 달라"고 권고했다.

이어 "12일부터는 70~74세, 14일부터는 65~69세 어르신께서 순차적으로 사전예약을 할 수 있다"며 "사전예약은 예방접종 사전예약 누리집을 통해 가능하며, 콜센터 1339를 통해서도 예약이 지원된다"고 설명했다.

김 반장은 "현재 18세 이상 성인의 1차접종률이 90%를 넘어 매우 높은 예방접종 참여를 보이고 있다"며 "면역형성 인구를 최대한 확보해 코로나19로 인한 중증사망을 예방하고,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안전하게 전환하기 위해 미접종자들 꼭 예방접종에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