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일일 평균 1961명으로 지난주 대비 21.2% 감소
지자체 주도형 재택치료 동네의원 협력의사 진찰료 30% 가산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방역당국이 코로나19 4차 유행 이후 확진자 수 발생이 감소세로 전환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어 단계적 일상회복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2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1주간 하루 평균 국내 확진자 수가 1961명으로, 전 주 대비 21.2% 감소했다고 밝혔다.
박 총괄반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에서 유사한 양상으로 유행 규모가 줄어들었다"며 "감염재생산 지수는 0.89로, 4주 연속 증가 추세에서 벗어나 1 이하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9월 넷째 주의 감염재생산 지수는 1.20였던 반면, 10월 첫 주는 0.89롤 떨어진 상황이다.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 역시 361명이며, 주간 총 사망자 수는 56명으며, 직전 주 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 박 총괄반장의 설명이다.
방역당국은 추석과 개천절, 한글날 등 연휴로 인해 이동량 추이는 계속 높은 상태를 보이고 있지만, 유행규모가 감소세로 전환되고 있는 것은 예방접종 확대 효과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박 총괄반장은 "18세 이상 성인 기준으로 1차 접종률은 90.6%, 접종완료율은 69.3%로 70%를 육박하고 있다"며 "예방접종 인구가 늘어나면서 감염 전파가 차단돼 유행 규모가 줄어드는 효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현재 유행은 접종 미완료자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예방접종이 점차 확대되면서 전파속도는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현재 상황을 진단했다.
방역당국은 현재 같은 상황이 유지되면서 예방접종률이 올라간다면 11월부터는 안정적인 일상회복으로 체계가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박향 총괄반장은 "13일 김부겸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코로나19 일상회복 지원위원회가 열린다"며 "관계부처와 각 분야별 민간위원들의 충분한 의견수렴을 통해 일상회복을 위한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또 "안전한 일상회복으로 갈 수 있도록 사적모임, 인원제한, 마스크 착용 같은 방역수칙을 적극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김지연 진료지원팀장은 현재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 중 의원급 의료기관에 대한 제한은 없다며, 다만 24시간 대응이 중요해 코로나19 진료 경험이 있는 감염병 전담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 협력 병원을 우선 지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팀장은 "건강보험 수가는 의원급 의료기관이 지자체 주도형 재택치료 협력의사로서 진찰을 담당할 경우 현재 진찰료의 30%를 가산한다"며 "의원급 의료기관 중 24시간 대응이 가능하고, 코로나19에 대해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건강관리료 수가도 지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