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윤 의원, 지역 특성과 수요 맞는 병상 공급 조절해 의료접근성 보장해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의료기관의 병상 수 수도권 쏠림현상이 심화되면서 병상총량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국회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광역자치단체 병상 수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의 병상 수 증가율이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 의원에 따르면, 전국 병상 수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71만 8184개로 집계돼 2017년 대비 2.3% 증가했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의 병상 수 증가율은 서울 4.7%, 경기 6.8%, 인천 7.55로 나타났으며, 전국 평균보다 웃도는 수치를 보였다는 것이다.

광역자치단체별 총병상 수.
광역자치단체별 총병상 수.

이에 수도권 병상 수 비중은 2017년 35.8%에서 올해 상반기 37%로 상승해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반면, 지방은 세종시와 대구를 제외하면 증감율은 미미하다.
강원(-6.7%), 광주(-5%), 경북(-3.8%)은 병상 수가 오히려 감소했다.

경남의 경우 전체 병상 수는 같은 기간 1300여개가 늘었지만, 평소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의원 병상 수가 모두 감소했다.

강기윤 의원은 "국민은 지역에 따른 차별 없이 우수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복지부가 병상총량제를 도입해 지역 특성과 수요에 맞는 의료기관 유형과 병상의 공급을 조절해 지역 간 차별없는 의료서비스 접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