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분원 신설 부작용 문제도 다뤄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정부와 6개 보건의약단체들이 병상 수급관리 추진계획과 적정 간호인력 등 의료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보건복지부는 1일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 의약단체들과 보건의료발전협의체 제19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 복지부는 의료 질을 높이기 위해 의료기관 병상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현재 병상 수급 현황을 분석 중이며, 그 결과를 토대로 병상 수급을 위한 기본시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의료계에서는 병상 수급관리 계획은 대형병원으로서의 환자 집중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의료전달체계 개편 방향을 고려해 추진돼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어 병상 관리뿐 아니라 의료 인력의 적절한 배치 등 의료자원 확충 로드맵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또 지방자치단체에서 의료기관 개설 허가를 임의대로 하지 않도록 복지부에서 기본시책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중앙 차원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날 보발협은 최근 보건의료노조와의 협의 과정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안 중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확대, 간호등급제 개선 등 의료계 관련 내용도 논의했다.
이창준 보건의료정책관은 "질 좋은 지역·공공·필수의료 확충을 위해 병상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지역의 의료인력 부족문제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병상 수급계획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규모 병상을 가진 대학병원의 분원 개설로 적정한 의료인력의 확보나 수급 측면에서 부작용이 우려돼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며 "지역 내 의료기관이 과도한 경쟁보다는 협력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진료지원인력 공청회·수술전 동의 대상자 확대 논의
- 의료계 반대했던 진료지원인력 공청회 참여키로
- 진료 지원 인력 양성화 醫-政 갈등 기폭제 되나?
- 비급여 보고의무화 醫-政 갈등 보발협서 새 국면 맞을까?
- 보발협 진료의뢰서 있어야 상종 진료 건보적용 논의
- 정부와 보건의료노조 어떤 합의에 이르렀나?
- 보발협, 보건의료 중장기 정책방향 논의
- 코로나19 중증병상 환자당 간호사 1.80명 배치키로
- 보발협, 필수의료과 분과협의체 신설키로
- 병상 수도권 쏠림 심화…병상총량제 도입돼야
- 보발협, 비대면 진료·의료기기 리베이트 근절 논의
- 코로나19 의료전달체계 마련된다
- 대형병원 분원 설립 방지 대책 내달 나온다
- 전국 지역·기능별 적정 병상수 판단 근거 마련돼야
- 대형병원 분원 설치 방지 병상수급시책 이달 말 나오나?
- 더딘 일차의료 활성화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는 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