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 및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개최
백신 기업 글로벌 진출 가속화를 통한 K-글로벌 백신 허브 도약 가시화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글로벌 보건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미는 민간 백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UN 총회가 개최되고 있는 미국 뉴욕에서 21일 한미 양국 백신 기업 및 연구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한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과 한미 글로벌 백신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이 개최됐다.

두 행사는 한미 양국 백신 기업 및 연구기관 간 협력방안을 구체화하고, 민간 부분 연대와 협력을 통한 글로벌 보건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

이번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에서 백신 원부자재 등을 생산하는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인 싸이티바가 한국 내 고부가 세포배양백 등의 생산시설 설립 투자를 내용으로 하는 투자신고서를 제출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원부자재 기업이 한국에 생산시설 투자를 신고한 첫 번째 사례로, 백신 원부자재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뿐만 아니라, 우리나라가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 한미 백신 협력 협약 체결식에 한국과 미국의 17개 백신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대표들이 참석해 원부자재 공급, 백신 공동개발, 위탁생산, 감염병 대응 연구협력에 관한 4건의 기업간 MOU와 4건의 연구기관 간 MOU 체결이 이뤄졌다.

이번 성과는 지난 5월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 이후 한미 양국 간 협력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협력 주체가 중소기업으로 확대되고, 협력의 범위가 원부자재 협력, 백신 공동개발, 위탁생산 등 다양화되고 있으며, 협력의 방향도 상호 기술협력, 원부자재 수출입 등 양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한미 글로벌 백신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한미 양국 12개 백신 기업 대표들이 모여, 코로나19 팬데믹 극복을 위한 각국 정부, 국제기구 간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술협력을 통한 백신 생산 확대방안 및 최근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백신 원부자재의 안정적인 공급방안, 코로나19 백신 및 차세대 백신 개발을 위한 백신 개발 협력방안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한국의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 노력과 5년간 2조 2000억원의 투자 계획을 설명하고, 글로벌 감염병 위기를 함께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 모든 분야에서 한-미 간 백신 협력을 공고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계적 수준의 의약품 생산능력을 가진 대한민국 기업과 세계 최고의 백신 개발 기술을 보유한 미국 기업 간 협력은 팬데믹 시대 위기 극복을 위해 연대·협력한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한미 백신 기업 간 대화를 주재해 한미 백신 기업들의 애로사항과 필요한 정부 지원 등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다.

여 본부장은 국내 백신 산업 고도화, 유수 글로벌 백신 기업 투자유치, 백신 분야 글로벌 협력 강화 등 우리나라가 글로벌 백신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범정부 지원을 강조했다.

또, 백신분야 연구개발(R&D) 지원, 인력 양성, 생산 인프라 개선 및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세제·재정 등 인센티브 확대,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미 백신 기업 제3국 공동 진출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