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협력방안과 감염병 대응 공동연구 개발 위한 인력 교류 방안 논의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한국과 미국정부가 백신 협력 및 감염병 대응 공동연구를 위한 인력 교류 방안을 논의했다.

보건복지부와 미국 보건부는 10일 영상으로 제4차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 회의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5월 한미 정상회담 직후 출범해 한미 양국간의 백신협력을 통해 감염병에 대한 공동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제4차 회의는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을 연계한 백신 협력방안, 감염병 대응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인력 교류 방안, 코로나19 대응 경험 등이 논의됐다.

첫 안건으로 지난해 5월 한미 양국 정상이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미국의 인도-태평양 구상을 연계하기로 한 합의에 기반해 인도태평양지역에서 한미 양국이 백신과 필수의료물자 공급, 과학자 등 전문인력 교류 등 영역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다음으로 양국 연구자 간 인력교류 활성화 및 공동연구 촉진 기반 마련에 대해서도 협의했다.

한국은 한국의 바이오메디컬 해외연수 지원사업 소개를 시작으로 한국 국립감염병연구소(NIID)와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간 전문가 및 과학자 인력교류, 재생의료 분야의 공동임상 연구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협력과제를 제시헸다.

미국은 한국의 제안을 환영하며, 인력교류 경험이 풍부한 국립보건연구원(NIH)을 중심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양국은 지난 2년간의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경험 및 정책적 시사점도 공유했다.

미국은 백신 공여 경험을 공유하며, 인도주의적 관점 및 공여 관련 규제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발표했다.

한국은 오는 6월경부터 시작하는 중저소득국 바이오 인력에 대한 교육 등 글로벌 인력양성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미국측 지지와 협조를 요청했다.

한편, 한미 양국은 전문가 그룹 회의를 통해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백신 생산과 공급 협력, 백신 및 원부자재 공급망 안정화, 코로나19 및 신종감염병 관련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등을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