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보건의료노조·간협, 노정합의 후 첫 회의 진행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지난 2일 정부와 보건의료노조 간 노정합의 체결 후 코로나19 병상 간호인력 배치기준 마련을 위한 첫 회의가 열렸다.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간호인력에 대한 배치기준 마련을 위해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대한간호협회와 8일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2일 노정합의 사항에 따라 코로나19 중증도별 간호사 배치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보건의료노조와 간호계가 제시한 인력기준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양측은 코로나19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간호업무에만 전념하도록 물품운반, 폐기물관리, 청소 및 소독 등을 전담하는 병동 지원인력의 추가 배치 필요성에 대해 동의했다.
이런 현장 상황을 고려해 앞으로 병원계 등과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필요한 간호인력 기준 마련과 함께 인력수급 등을 고려한 적용 가능성도 감안해야 한다는 필요성에도 공감했다.
이창준 보건의료정책관은 "코로나19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인력의 노고에 감사하다"며 "노정합의 결과에 따라 신속히 기준을 마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醫, 노정합의문 의사인력 증원 거론에 반발
- 정부와 보건의료노조 어떤 합의에 이르렀나?
- 보건의료노조 2일 총파업 철회
- 막판 교섭 나서는 노정...최종 결렬되면 2일 총파업 돌입
- 5개 과제 합의 못이뤄...보건의료노조 "어렵다는 말만 되풀이"
- "반쪽짜리 노정교섭 실패"... 의료노련, 노정교섭 주체 참여 주장
-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예고... 여야 우려 "복지위가 중재해야"
- 政, 코로나19 병상 간호사 배치기준 실태조사 진행
- 9월 예정됐던 PA 공청회 일정 못잡는 이유는?
- 코로나19 중증병상 환자당 간호사 1.80명 배치키로
- 예산 도출된 노정합의 과제는? "공공병원 확충, 재원부터 마련"
- 노정합의 이행 주력, 공공의료·간호인력 협의체 11월 가동
- 상급종병 내 코로나 중증환자 케어 일반 간호사로 완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