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3D 프린팅 수술가이드, 조건부 허가 자격 갖춰
[메디칼업저버 양민후 기자] 서울아산병원 고범석 교수(유방외과)·김남국 교수(융합의학과)팀은 환자 맞춤형 수술 가이던스(이하 유방암 3D 프린팅 수술 가이드)’가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혁신의료기술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혁신의료기술은 혁신성과 잠재성을 높게 평가해 조건부로 빠르게 임상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해주는 제도다.
유방암 3D 프린팅 수술 가이드는 환자의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다. 유방의 정상 조직과 암 조직 등 검사 데이터가 3D 프린터로 전송돼 3D 모형이 만들어지는 형식이다.
3D 모형은 유방 보존술 시 암 위치를 정확히 표시해 최대한 암세포만 제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연구팀은 2015년 유방암 3D 프린팅 수술 가이드를 개발했다. 2019년 항암 치료를 받은 국소 진행성 유방암 환자에게 3D 프린팅 수술 가이드를 적용한 결과 암이 깨끗하게 제거되고 평균 45개월 동안 암이 재발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2020년에는 유방 상피내암 환자들에게 적용한 결과 암이 남아있지 않고 모두 정확하게 절제됐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고범석 교수는 “유방암 치료에서 정확한 암 제거뿐만 아니라 환자 삶의 질을 최대한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며 “유방 보존술 시 3D 수술 가이드를 이용하면 정상 조직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안전하고 정밀하게 암을 절제할 수 있어 수술 결과가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남국 교수는 “환자들이 MRI를 촬영할 때 자세와 수술을 받을 때 자세가 다른 점 등 정확한 수술 가이드를 만들기 위해 여러 문제를 고려해야 했다"며" 병원 내 임상 의료진과 의공학 전문가들이 힘을 합친 결과여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