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 ... 병원 이전은 재개원 수준으로 전략 수립 중

사람을 향한다는 의료의 본질을 지키면서 진료의 질까지 높이겠다는 국립중앙의료원 정기현 원장의 목표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21일 취임 기자간담회를 개최한 정 원장은 국립중앙의료원 즉 공공병원이 원래 해야 할 역할을 다시 찾을 것이라 발표했다.
정 원장은 "그동안 국립중앙의료원이 공공병원으로서 가야 할 길을 갔는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며 "민간병원이든 공공병원이든 의료가 갖고 있는 본질은 잊지 않아야 한다. 의료는 사람을 향해 있어야 한다"고 원칙을 강조했다.
사실 정 원장이 제시하는 공공병원으로서 국립중앙의료원의 모습은 구체적이지 않다. 아직은 조그 모호하다는 느낌이다.
공공병원이 환자를 많이 진료해 수익을 내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했지만, 환자의 양이 진료의 질을 담보한다는 정 원장의 주장 등이 그렇다,
"이전하면서 국립중앙의료원 역할 다시 고민"
의료수가에 대한 정 원장의 생각도 의료계 생각과 간극을 보였다.
현재 의료계는 저수가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 원장은 적정한 수가도 있고,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다는 의견을 드러냈다.
정 원장은 "수가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다"라며 "빅5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 등만 생존할 수 있는 구조를 바꿔야 한다. 빅5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으로 환자가 몰리는 의료전달체계를 바꾸면서 돈의 흐름 즉 의료 생태계가 먹고 살 수 있는 구조로 바꾸면 개원가와 중소병원 등도 생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문재인 케어와 의료전달체계가 바로 서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며 "의료비 전체 파이가 증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가장 문제인 의료인력 부족 등의 문제도 파이가 늘어나면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초구 원지동으로 병원 이전에 대해서는 이미 결정된 사항은 먼저 처리하겠지만, 국립중앙의료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는 다시 고심하는 중이라 밝혔다. 정부가 국립중앙의료원의 위상에 역할에 대해 고민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고.
정 원장은 "병원을 이전하는 문제가 아니라 국립중앙의료원에 어떤 것을 담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많다"며 "단순하게 건물을 옮기는 수준이 아니라 진료영역, 병상수, 해야 할 일, 역할 등 재개원하는 수준으로 역할을 다시 정비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였다.
코드인사?
문재인 정부의 코드인사라는 의혹에 대해 정 원장은 담담한 입장이었다.
처음 코드인사라는 기사가 나갔을 때 당황했지만 이내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다고 받아들였다고.
정 원장은 "지방의 중소병원을 하던 사람이 국립중앙의료원 원장이 됐다. 한국사회 기존 질서에서 보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고 본다"며 "코드인사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의견 중 맞는 것이 있으면 받아들이고, 그외의 것은 실력으로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