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개편 범투위 결정 무조건 따르지 않는다…대개협 차원 의견 개진 강조
의사국시 의대생 자존심 세우고 의료체계 붕괴 막기 위해 정부 결단 촉구

대한개원의협의회는 1일 제26차 추계연수교육 온라인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김동석 회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의사협회 회장 선거 출마 가능성을 시사했다.
대한개원의협의회는 1일 제26차 추계연수교육 온라인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대회에서 김동석 회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의사협회 회장 선거 출마 가능성을 시사했다.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김동석 대한개원의협의회 회장이 차기 의협 회장 선거 출마 의사를 밝히고, 확대 개편된 범투위의 결정에 대해서는 무조건적으로 따르지 않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대한개원의협의회는 1일 서울드래곤시티 신라홀에서 제26차 대한개원의협의회 추계연수교육 온라인 학술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학술세미나에서 김동석 회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의협의 시스템은 개혁을 넘어 완전히 틀을 바꿔야 한다며, 대정부 투쟁과 회무 안전성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면 출마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최근에는 의사협회 회장에 대해 정치적 중립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저는 의료계의 일 이외에는 다른 외부 활동을 하지 않고 있으며, 의협 회장으로서 해야 할 일이 있다면 심각하게 출마를 고려하겠다"고 했다.

이어, 그는 "의협은 의사면허 관리와 국가 보건의료정책에 대해 파트너이자 견제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며 "보험 등 실무는 각 산하 단체의 보험이사들이 참여하고, 의협 보험이사는 옵저버로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김동석 회장은 최근 구성중인 확대 개편된 범투위 결정에 무조건 따르지 않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대개협이 의협 산하 단체로서 범투위의 결정 사항에 대해 거부하지는 않겠지만, 문제가 있다면 명확하게 입장을 개진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대개협은 상임이사회를 열고, 범투위 구성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확대, 개편된 6인 공동위원장 체제의 범투위는 편향된 인적 구성과 의협 상임이사회의 결정으로 구성돼 각 직역의 목소리를 제대로 담아낼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김 회장은 "6인 공동위원장 체제는 다양한 직역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없고, 제대로된 토론도 이뤄질 수 없다"며 "새로운 범투위는 모든 직역이 참여하고, 소통이 돼야 하며, 의협 상임이사회보다 상위에서 결정을 내리고, 투쟁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석 회장은 의대생 의사국시 문제는 의대생들의 자존심을 지키고, 의대생들의 뜻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회장은 "정부는 의사인력이 부족해 10년간 4000명이 필요하다고 의대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신설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당장 내년 2700명의 의사를 배출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며 "내년부터 인턴이 없으면, 그 다음해는 전공의가 없는 상황이 초래된다. 결국 지금도 지원자가 없는 필수의료에는 더 전공의가 없어져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위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의료계는 이런 부분을 국민들에게 설득해야 한다"며 "의사국시 재시험이 특혜라고 하는데, 과거에도 의사국시는 면허 시험이기 때문에 재시험을 치른 적이 있어. 이런 부분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의정협의 파기에 대해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의료계가 먼저 의정협의 파기를 선언할 경우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며, 의정협의체는 범투위에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