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신장증 소아 신장증가 효과 있지만…일부 의사 효능 부풀리기도

키 작은 아이를 둔 부모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다는 성장호르몬 치료. 저신장증 소아에서 신장증가 효과가 입증됐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면서 부모들의 관심을 자극한 것도 영향이 컸다.하지만 일부 의사들이 저신장 소아를 대상으로 성장호르몬 치료 효능을 부풀린 채 치료를 권유하고 있어,일각에서는 우려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경희의대 내분비대사과 김성운 교수는 "성장호르몬 치료는 저신장증 소아들에서 신장 증가 효과가 명확히 입증됐다"면서 "하지만 치료를 통해 증가할 수 있는 신장의 기준이 존재하지만, 일부 의사들이 기준을 넘어선 수치를 말하는 등 효과를 부풀리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했다.그러면서 김 교수는 "성장호르몬 치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신장의 기준이 정해져 있는데, 이를 넘어설 만큼 극적인 효과를 봤다는 연구결과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고 부연했다.

성장호르몬 치료 효과 부풀려진 채 남용

현재 성장호르몬 치료는 크게 △다양한 원인에 의해 성장호르몬 분비가 되지 않거나 정상보다 적은 '성장호르몬 결핍성 저신장증 소아'와 △성장호르몬 분비는 정상이지만 다른 원인으로 키가 작은 '성장호르몬 비결핍성 저신장증 소아'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성장호르몬 결핍증의 경우 키 3백분위 수 미만, 성장 속도의 감소(4cm/년 이하), 골연령 지연(정상 연령보다 2년 이상 지연) 등의 특징적인 성장장애를 보이는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

현재 미국식품의약국(FDA)이 허가한 성장호르몬 치료에는 △성인 및 소아 성장호르몬 결핍증 △만성 신부전증으로 초래된 성장 장애 △터너 증후군 △프래더-윌리 증후군 △태아발육부전증 △누난 증후군 △특발성 저신장증이 있다.

효과는 개인간 차이 심해, 뚜렷한 효과 없다는 보고도 존재

FDA가 허가한 치료 적응증 가운데 치료 효능 논란의 중심에 선 질환도 있다. 바로 '특발성 저신장증'이다.

성장호르몬 결핍증에 따른 저신장증을 동반한 소아의 경우 성장호르몬 치료 효능이 우수하지만, 특발성 저신장증에 대해서는 치료 효과 정도가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특발성 저신장증은 정상 저신장증(normal short children)으로도 불리는데, 특별한 이유 없이 해당 연령 및 성별의 평균 신장보다 2 표준편차 점수 이하 또는 3 백분위 미만인 경우로서 전신적, 내분비학적 영양학적 염색체 이상의 증거가 없는 경우를 뜻한다.

치료 효능에 대한 전문가들 의견은 엇갈린다.

유전자재조합의약품과 백대현 연구원은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에 대한 성장 호르몬 치료는 아직 제한적이라는 입장이다.

백 연구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 보고서를 통해 "현재 10여 종의 성장 호르몬이 시판되고 있는데, 효능·효과 범위는 품목별로 조금씩 다르고, 일부 품목은 특발성 저신장증에 대한 효능·효과가 없다"면서 "그 중 몇몇 품목은 적응증 추가를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백 연구원은 또 "성장호르몬 치료가 삶의 질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된 바 있다"면서 "성장호르몬 치료가 필요한 대싱인지 여부에 대한 명확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하고, 비용대비 효과에 대해서도 의사와 충분히 상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뚜렷한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미 연구진이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 80명을 대상으로 성장 호르몬을 매일 0.125 IU/kg(0.3mg/kg/wk) 2년에서 10년까지 투여한 후 효과를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최종 성인키와 치료 전 예상키의 차이가 남자에서 5cm, 여자에서 5.9 cm 로 치료 후 키가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했다(N Engl J Med 1999; 340: 502 - 507).

현재 FDA는 특발성 저신장증에서도 키가 같은 연령 및 성별의 평균보다 -2.25 SD(표준편차) 미만인 경우, 최종 예상 성인키가 남자는 160cm 여자는 150cm 미만일 때 성장호르몬 치료를 인정하고 있다.

고려의대 이기형 교수(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가 발표한 논문에서도 "일반적으로 특발성 저신장증의 성장호르몬 치료는 치료 시작 시 연령이 어릴수록(eg)5세 이전), 저신장 정도가 심할수록, 치료기간이 길수록, 성장호르몬 치료 용량이 많을 수록(eg)주당 6~7회, 자기 전 피하주사) 치료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고 명시했다(J Korean Med Assoc 51(9) : 849 - 855).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 비용대비 심리적 만족감 크지 않아

문제는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는 성장호르몬 결핍증, 터너증후군처럼 급여가 되지 않고 장기간 치료 시 비용이 수 천만 원을 호가하고, 치료로 기대되는 심리적 만족감 회복이 크지 않다는 것.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를 비롯한 소아 성장호르몬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최소 2년 이상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몇몇 연구결과를 보면 저신장증 소아에서 5~7㎝ 최종 신장 증가를 위해서는 2년에서 3년 이상 성장호르몬 주사를 투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J Korean Med Assoc 51(9) : 849 - 855).

김성운 교수는 "특발성 저신장증 소아의 경우 저신장의 심한 정도, 개별적인 치료 효과, 비용, 심리적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고민해야 한다"면서 "또 치료는 일반적으로 안전하지만 발생할 수 있는 부종 등의 치료 중 일시적으로 동반될 수 있는 부작용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성장호르몬 치료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부종이다. 약 30% 정도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심한 부종을 보이는 경우는 성장호르몬을 과다 투여했을 때이고, 용량을 감소하면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 근육통, 관절통 등도 드물게 동반된다. 일각에서는 암 발병 위험이 상승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그럴 가능성의 거의 없다는 게 김 교수의 부연이다.

김 교수는 "단순히 남보다 키를 더 크게 하려고 성장호르몬 치료가 남용 되어서는 안 된다"면서 "극심한 저신장, 환자나 부모가 느끼는 심리적 압박감, 성장 기대 정도 등을 고려해 치료를 결정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