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진영주 교수

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진영주 교수
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진영주 교수

 

투약 결과

간초음파 검사에서 중등증 지방증<그림 1> 및 간수치 상승을 동반한 MASLD 환자에게 고덱스(GODEX, 성분명: carnitine orotate, pyridoxine, riboflavin,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antitoxic liver extract, adenine, cyanocobalamin)를 1캡슐, 1일 3회 요법으로 처방하고 운동 및 생활 습관 교정을 교육했다. 복용 8개월 후 시행한 혈액검사에서 AST 51 IU/L, ALT 22 IU/L로 감소한 것을 확인했으며, 유지요법으로 4개월 동안 추가 복용한 혈액검사에서 AST 19 IU/L, ALT 10 IU/L로 정상화된 것을 확인했다.

또한 복용 전 시행한 간섬유화 및 순간탄성측정법 검사에서 3단계의 간섬유화 10.3 kPa, 지방 침착 정도를 비교한 CAP 수치 361 dB/m으로 중증 섬유화 및 지방증이 확인됐던 것이<그림 2>, 복용 6개월 후 시행한 순간탄성측정법 검사에서 7.3 kPa, CAP 335 dB/m으로 간섬유화 및 지방증이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그림 3>. 복용 12개월 후 시행한 검사에서 6.9 kPa, CAP 323 dB/m으로 간섬유화가 정상으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그림 4>. 복부초음파에서도 복용 전 확인된 중등증 지방증이 12개월 복용 후 경증 지방증으로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5>.

 

결론 및 고찰

MASLD의 일차적인 치료 원칙은 운동과 생활 습관 교정(체중 7-10% 감소) 및 동반 질환의 적극적인 조절이다. 2024년에 resmetirom이 대사이상지방간염(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steatohepatitis, MASH) 치료제로 미국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최초로 허가받았으나, 아직 국내에 도입된 치료제는 없는 실정이다. 카르니틴 복합제제인 GODEX는 간효소 개선 및 지방 감소 목적으로 실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간섬유화 개선에 대한 임상적 근거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증례는 체중 과다 이외의 특이 질환이 없는 MASLD 환자에서 F3 단계로 진행된 섬유화가 확인된 경우이다. GODEX를 12개월간 투여하고 생활 습관 교정을 병행한 결과, 간효소 정상화, 간내 지방 감소(CAP 감소, 초음파상 지방증 호전), 더 나아가 섬유화 지표 호전(10.3 → 6.9 kPa)을 관찰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무작위 대조연구 결과, GODEX는 MASLD 환자에서 ALT 정상화 및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기반 간지방 개선 결과가 일관되게 보고된 바 있으며, 이는 본 증례에서의 간효소 수치의 호전과 일치한다. 또한 카르니틴 성분의 지방산 β-산화 촉진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biphenyl dimethy dicarboxylate (BDD)의 항산화 및 간세포 보호 기전은 간내 지방 축적 감소와 간손상 억제에 기여할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본 증례에서 GODEX를 12개월간 투여하여 간섬유화 지표의 호전이 순간탄성측정법 추적에서 관찰되었다는 것이다. 기존 임상시험에서는 간내 지방 감소 결과는 비교적 확립되었으나, 섬유화 개선에 대한 확정적 근거는 부족하였다. 일부 연구에서 BDD 단독 사용 시 ALT 개선은 확인되었지만, 섬유화 역전은 입증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증례에서의 섬유화 호전은 체중 감소 및 운동을 비롯한 생활 습관 교정과 약물의 간세포 보호 및 대사 개선 기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증례에서는 GODEX 장기 투여 환자에서 간내 지방 및 섬유화 지표의 호전을 확인했다. 다만, 단일 사례라는 한계가 있으며, 섬유화 개선 결과의 인과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장기 무작위 대조연구에서 자기공명탄성영상(magnetic resonance elastograph, MRE) 또는 간조직 생검 기반의 평가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Romero-Gómez M, et al. Treatment of NAFLD with diet,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J Hepatol . 2017 Oct;67(4):829-846.

2. Bae JC, et al. Improv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Carnitine-Orotate Complex in Type 2 Diabetes (CORON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abetes Care . 2015 Jul;38(7):1245-1252.

3. Hong ES, et al. Effect of carnitine-orotate complex on glucose metabolism and fatty liver: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Gastroenterol Hepatol . 2014;29(7):1449-1457.

4. Harrison SA, et al. Resmetirom (MGL-3196) for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 multicentre,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hase 2 trial. Lancet . 2019 Nov 30;394(10213):2012-2024.

5. Waheed A, et al. FDA approves Resmetirom: groundbreaking treatment for NASH liver scarring in moderate to advanced fibrosis. Ann Med Surg(Lond). 2024;87(3):1088-1091.

6. Rinella ME, et al. AASLD Practice Guidance on the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epatology. 2023 May 1;77(5):1797-1835.

7. Eslam M, et al. MAFLD: A Consensus-Driven Proposed Nomenclature for Metabolic 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Gastroenterology . 2020 May;158(7):1999-2014.e1.

8.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EASL);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EASD);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EASO). EASL-EASD-EAS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MASLD). J Hepatol. 2024 Sep;81 (3):492-542.

9. 2025 대한간학회 대사이상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