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인성 쇼크 환자 에크모 치료에 혈액정화요법 접목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에크모 치료의 난제 중 하나인 '염증' 억제를 위해 혈액정화요법이 새로운 단초로 등장했다.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의학과 양정훈·고령은 교수 연구팀은 염증성 물질과 내독소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혈액정화요법을 에크모 치료와 병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

혈액정화요법은 패혈성 쇼크 환자에서 최근 적용하고 있는 새로운 치료법이다.

초기 임상시험에서는 혈액 속 내독소와 염증 유발 인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해 쇼크를 개선했다.

연구팀이 특수필터(옥사리스)를 이용해 혈액정화요법을 시행한 환자와 평소처럼 치료한 환자를 무작위배정해 비교했을 때 염증성 사이토카인 인터루킨-6의 수치가 에크모 치료 시작 후 24시간째 감소하기 시작했고, 7일째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다른 염증 지표인 염증 유발 성장분화인자(GDF)-15 역시 48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처음보다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이 확인됐다.

다만,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는 에크모 치료 시작 48시간 뒤 두 군의 내독소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지 않았고, 사망률이나 임상 성과 개선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고령은 교수는 "에크모치료 중 혈액정화 필터(oXiris)가 염증 반응을 조절할 수 있을지를 살펴본 파일럿 무작위배정연구로, 내독소 감소나 주요 임상 결과 개선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인터루킨(IL-6), 염증 유발 성장분화인자 (GDF-15)의 시간 경과에 따른 감소 신호 등 향후 연구 단서를 제시했다"며 "임상 결과 향상에 대한 대규모 무작위 임상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책임 연구자 양정훈 교수는 "에크모 치료는 생명을 살리기 위한 최후의 방법이지만, 치료와 연관된 생리적인 신체 반응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그 중 하나인 염증을 적절히 조절하고 관리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며 "이번 연구는 그 위험을 줄이기 위한 첫 시도로, 향후 더 안전한 에크모 치료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중환자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크리티컬 케어(Critical Care, IF=9.3)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