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새 치매환자 22% 증가···경찰 "감지기, 초동조치 핵심"
복지부 "지원사업 한계"··· 등록률·보급률 지역별 격차도 커

제공 : 서미화 의원실
제공 : 서미화 의원실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65세 이상 인구 증가에 따라 추정 치매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늘면서, 치매환자에 대한 실종 신고와 경보 문자 발송 건수도 함께 증가했다. 실종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배회감지기를 대여·지급하고 있으나, 보급률은 전체 환자 수 대비 여전히 낮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증가와 함께 추정 치매환자 수도 급증하고 있다. 2020년 74만 6000명 수준이던 추정 치매환자 수는 2024년 91만명으로, 5년 만에 약 22% 증가했다.

치매환자 증가와 함께 실종 신고 및 경보 문자 건수도 꾸준히 늘었다.

2020년 1만 2272건이던 실종 신고는 2024년 1만 5502건으로 26.3% 증가했고, 치매 실종자를 찾기 위한 경보 문자는 2022년 1139건에서 2024년 1794건으로 57% 늘었다.

복지부와 건보공단은 치매환자 조기 발견을 위해 배회감지기를 대여·지급하고 있다. 복지부는 기업의 사회공헌을 통해 2021년 이후 9894대를 무료로 지급했고, 건보공단은 2016년 이후 신청자에 한해 4만 611대를 대여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를 합쳐도 약 5만대로, 추정 치매환자 수 대비 5.5% 수준에 불과하다.

현재 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를 기준으로 배회감지기를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2025년 기준 전국 치매안심센터의 등록률은 지역별로 43~100%로 편차가 크며, 센터가 신청한 수량 대비 실제 보급 수량은 5000대 이상 부족한 실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실종 신고는 대부분 출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배회감지기의 현장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초동조치와 실종 장기화를 막을 수 있는 장치"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사회공헌 등 지원사업을 통해 배회감지기를 확보하고 있어 수요 확대에는 한계가 있다"며 "전국 치매안심센터가 신청한 수량을 환자에게 배분하는 구조라 정확한 필요 수량을 파악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가 발간한 '2024 대한민국 치매현황'에 따르면, 2040년 치매환자 수는 약 180만명으로 지금의 2배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2060년에는 233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 의원은 "고령화 가속화로 치매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으며, 속도는 점점 빨라질 것"이라며"치매환자 실종은 경찰 출동 등 행정력 과중으로 이어지는 만큼, 초기 대응을 통해 행정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별로 상이한 치매안심센터 등록률을 높이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배회감지기 보급률을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