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신장암·갑상선암 등 비만 관련 암 조기 발병 위험 상승

 좌측부터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석송 교수,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김원 교수
 좌측부터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 교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석송 교수,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김원 교수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지방간이 있는 20대 및 30대 청년층의 경우 50세 미만 조기 암 발병 위험이 일반인보다 20% 가량 높은 것은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석송 교수, 교신저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은 20대, 30대 지방간질환 환자의 50세 이전 조기 암 발병 위험이 일반인보다 20%가량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지방간질환과 조기 발병암의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민건강보험 자료에 기반, 2013~2014년까지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대, 30대 287만 7245명을 대상으로 소화기·비뇨생식기·호흡기·내분비 등 전신에 걸친 23가지 암 발병률을 최장 10년간 추적관찰하는 대규모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지방간질환 환자는 일반인 대비 조기 발병암 위험이 약 20% 증가했으며 △대사이상성(19% 상승) △대사 및 알코올 복합성(12% 상승) △알코올성(21% 상승) 등 모든 지방간질환 종류에서 발병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암종별 분석에서는 비만이 암 발병 요인으로 작용하는 '비만 관련 암(obesity-related cancer)'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대장암은 젊은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상대위험도가 최대 1.32배에 이르렀으며, 신장암(최대 1.53배), 갑상선암(최대 1.36배), 자궁내막암(최대 3.78배)도 유의하게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최근 청년층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비만과 지방간질환이 50세 미만 암 발병의 고위험 인자임을 시사하며, 이런 위험에 노출된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조기 암 진단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문준호 교수는 "50세 이전에 발생하는 암은 진행이 빠르고 공격성이 강해 조기 진단 및 치료 여부에 따라 예후가 극명하게 달라질 수 있다"며 "비만 및 지방간질환은 증상을 자각하기 어려워 방치하는 환자가 많아 젊은층에서 진단율을 높이고 암 발병 모니터링까지 이어질 수 있게 하는 통합적 검진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 분야 국제학술지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