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산학연 컨소시엄 1곳 선정해 10월부터 2년 3개월 간 사업 진행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정부가 2년 3개월 간 40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항체 바이오베터 또는 항체 바이오 신약 발굴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2차 추가경정예산에서 순증된 인공지능(AI) 기반 항체 바이오베터 개발 예산을 배정받았다.

순증 예산을 배정받은 AI 기반 항체 바이오베터 개발사업은 미래 국가 바이오의약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사업은 AI 설계 기반 기술을 활용해 특정 질병을 표적으로 하는 바이오베터 후보물질을 신속하게 개발하고, 대규모로 생성할 수 있게 하려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이다.

바이오베터는 유효성분의 종류나 배합비율, 투여경로, 제제학적 개선 등을 통해 제형·함량·용법·용량 등을 변경해 이미 허가된 생물의약품 대비 안전성과 유효성, 유용성을 개선한 의약품이다.

전문기자협의회 취재결과, 복지부는 9월까지 산-학-연 컨소시엄 1곳을 선정해 10월부터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사업기간은 2년 3개월이며, 40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AI를 기반으로 바이오베터 등 항체의약품 1개 품목을 발굴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달 내 연구제안서를 공지한 후 전문위원회를 거쳐 8월까지 확정 공고할 예정"이라며 "9월 중 1곳의 산학연 컨소시엄을 선정하고, 10월부터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2년 3개월 간 404억원의 예산을 배정받았다"며 "적은 예산이 아니다. 질환군은 특정하지 않았으며 항체 바이오베터, 항체 바이오 신약 등을 선정할 생각이다. 미래 국가바이오 경쟁력 향상과 바이오베터 창출이 사업 목표"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