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피부과 박귀영 교수팀, 여드름 비약물 치료 최신 동향 리뷰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여드름이 낫지 않으면 레이저 또는 고주파 등 적합한 치료를 찾아 치료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박귀영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홍지연·석준 교수, 중앙대광명병원 피부과 한혜성 교수)은 여드름 및 여드름 흉터 치료를 위한 비약물적 치료법의 최신 연구 동향과 임상 적용 가능성을 종합 정리한 리뷰 논문을 발표했다.
여드름은 전 세계 인구의 약 80%가 경험하는 대표적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청소년기에는 85% 이상의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여드름 치료 시 일차적으로 바르는 연고나 경구약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치료가 환자에 따라 부작용이 생기거나 효과에 한계가 있어 비약물적 치료법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게다가 여드름은 단순한 피부 문제를 넘어 삶의 질과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최근에는 항생제 내성 증가, 약물 부작용, 재발 문제 등으로 인해 다양한 비약물 치료 옵션들이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논문에서 대표적인 에너지 기반 장비(EBD)와 화학적 박피(Chemical Peeling)를 중심으로 각 치료법의 작용 원리, 임상 효과, 장단점을 정리했다.
홍지연 교수는 "여드름은 단순한 미용 문제가 아니라 우울감, 불안 등 정신적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석준 교수는 "환자 상태와 병변 특성에 따라 적절한 비약물 치료법을 조합하면, 약물치료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며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개별화된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혜성 교수는 "최근 에너지 기반 장비(EBD)와 화학적 박피를 포함한 비약물 치료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여드름뿐만 아니라 흉터, 색소침착 등 이차적 피부 변화까지 함께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활용 가치가 크다"며 "환자 맞춤형 통합치료의 일환으로 비약물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리뷰 논문은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