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BMP-2 단일 성분 원료의약품 허가
대장균 기반 생산으로 동물세포 유래 대비 생산성 및 비용 경쟁력 높여

 BMP-2 적용 골대체재 노보시스(NOVOSIS).
 BMP-2 적용 골대체재 노보시스(NOVOSIS).

[메디칼업저버 배다현 기자]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골 재생을 촉진하는 단백질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2)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원료의약품 허가를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2013년 독자적인 대장균 생산기술을 적용해 BMP-2 단백질의 국산화 및 대량 생산에 성공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네보테르민(Nebotermin)이라는 국제 일반명을 획득한 바 있다. 이후 대웅제약의 생물의약품 제조소에서 의약품 수준으로 생산 및 관리돼 왔으며, 이번에 원료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았다.

이번 허가는 골절이나 디스크 수술 후 뼈가 잘 붙지 않아 고생하는 환자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기존에는 수입산 BMP-2 단백질이나 이를 기반으로 한 제품이 사용돼 왔지만, 대웅제약은 자체 기술로 이를 국산화하고 의약품 수준의 품질 기준을 충족시켜 원료의약품 허가를 받았다. 

대웅제약 측은 "이번 사례는 국내 최초로 BMP-2 단일 성분에 대해 원료의약품 승인을 획득한 것으로, 복잡하고 정교한 제조 공정과 고도의 품질 관리가 요구되는 단백질 기반 생체소재의 특성상 엄격한 허가 절차를 통과한 성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BMP-2는 골 결손 부위에서 줄기세포를 골세포로 분화시키는 단백질로, 새로운 골 생성을 유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대웅제약의 BMP-2는 대장균을 이용해 생산한 단백질로서, 동물세포 유래 단백질 대비 생산성과 비용 경쟁력이 높다.

골 재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BMP-2는 실제 의료 현장에서 다양한 골대체재에 적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시지바이오의 '노보시스'다. 노보시스는 대웅제약의 BMP-2를 함유한 골대체재로, 해당 단백질을 적용한 제품으로는 세계 두 번째이자 국내 최초다. 

지난 4월에는 BMP-2와 시지바이오의 차세대 골대체재가 결합된 '노보시스 퍼티(NOVOSIS PUTTY)'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한국의 융복합 의료제품 최초로 임상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

글로벌 BMP-2 시장은 고령화, 골 관련 질환 증가, 조직재생 수요 확대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 리서치 인텔리전스(Market Research Intellect)에 따르면, 글로벌 BMP-2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8억 5천만 달러(한화 약 1조 1,000억 원), 2033년에는 약 15억 달러(한화 약 2조 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BMP-2의 원료의약품 허가는 기술력뿐 아니라 생산과 품질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신뢰를 입증한 것"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지지체와의 융복합을 통해 근골격계 의료제품군을 확장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에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