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협 및 시도간호사회 20일 복지부 세종청사 앞서 규탄 집회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진료지원업무 교육관리 주체를 두고 정부와 간호계간 이견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간호협회 및 시도간호사회가 교육관리의 주체가 돼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간호협회를 비롯한 전국 시도간호사회와 산하단체는 20일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앞에서 정부의 진료지원업무 관련 교육 책임을 병원에 전가하려는 시도에 강력 반발했다.
이들은 간호사의 진료지원업무 교육관리는 간호 실무와 교육에 전문성을 갖춘 간협이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부의 일방적 제도 추진을 강하게 비판했다.
간호사들은 20일부터 세종 청사 정문 앞에서 무기한 1인 시위에 돌입했다.
간협은 성명을 통해 "진료지원업무는 단순한 보조가 아니라 환자 상태를 신속히 파악하고 임상 상황에 즉각 대응해야 하는 고난도의 전문 영역"이라며 "실무 경험만으로는 부족하며 충분한 이론 교육과 임상 실습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아무런 교육 인프라도 없이 병원 등에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며 "현재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선임 간호사의 구두 전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간협은 이런 현실을 두고 '정부가 말하는 제도라는 것이 결국 현장의 책임만 키우는 탁상행정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또 간협은 일본 등 선진국의 선례를 들며 간호연수교육원 등을 통해 교육과정 개발, 자격시험 운영, 보수교육 평가 등을 수행해 온 협회가 진료지원 교육도 관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현재 전국 병원에서 4만명이 넘는 간호사들이 진료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이들 간호사들은 명확한 교육 기준이나 자격체계 없이 그림자 노동 상태에 놓여 있다고 간협은 설명했다.
또 이름도, 권한도, 보상도 없이 제도 밖에서 실질적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정부의 현실 외면을 행정 폭력이 강조했다.
간협은 △진료지원업무 교육의 간호협회 전담 △간호 현장의 수요와 전문성 기반의 업무 구분 △간호사의 실제 업무 흐름에 맞춘 행위 목록 고시 및 법적 자격 보장 등을 정부에 강력히 요구했다.
간협은 "간호사의 전문성과 권리를 짓밟는 그 어떤 시도에도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간호사의 헌신을 이용하고 책임을 외면하는 정부의 행동을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한편, 간협은 20일부터 1인 시위에 들어갔다.
1인 시위 첫 주자로 나선 신경림 대한간호협회 회장은 '간호사 진료지원업무 수행 규칙(안) 56만 간호사가 요구한다! 진료지원 교육관리, 간호협회로! 자격체계, 법으로 보장하라! 현장 의견, 반드시 반영하라! 졸속 제도, 즉각 중단하라!'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이날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정문 앞에서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