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PIA, 국내 의료진 대상 설문조사 결과 발표
해외 대비 긴 신약 급여 기간 지적..."환자 치료에 고충"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의사 10명 중 8명은 혁신 신약의 국민건강보험 급여 등재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 환자 치료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는 14일 국내 의료진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의료진 모두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부터 건강보험 급여 적용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길다'고 답했다. 이 중 74%는 '너무 길다'고 지적했다.
허가 이후 건강보험 등재까지 적정기간은 '최대 10개월'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81%로 가장 높았고, '6개월 이내'라고 답한 응답자도 41%에 달했다.
2022년 기준 국내에서 혁신신약이 식약처 허가 후 건강보험 등재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608일(약 20개월)로 집계된 바 있다.
이는 설문에 참여한 대다수의 의료인이 꼽은 적정 기간 10개월의 두 배이며, 같은 기간 독일 281일, 일본 301일, 프랑스 311 등 해외 주요 국가에 비해서도 현저히 길다.
특히 설문에 참여한 의료진들은 신속하고 폭넓은 혁신 신약 도입이 환자 치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응답자의 83%는 '해외에서 이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이 국내에서도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다면 환자 치료 결과는 유의미하게 개선될 것'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이미 건강보험에 등재된 의약품이라도 급여 기준이 완화돼 의약품의 조기 또는 폭넓은 사용이 가능해진다면, 환자 치료 결과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85%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 중증 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의 약물 허가 심사 기간을 최대 75% 단축하는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GIFT) 제도와 유사하게 보건복지부 역시 건강보험 적용에 신속 등재 절차 또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95%에 달했다.
설문에 참여한 의료진들은 한국의 낮은 신약 접근성에 우려를 보였다.
응답자 94%는 한국의 신약 접근성이 해외 대비 낮다고 지적했고, 97%는 다국적 제약사들이 국내 의약품 관련 규제로 인해 혁신 신약 출시를 포기하는 이른바 '코리아 패싱' 현상을 막기 위해 정부가 적절하고 합리적인 약가를 책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76%는 국내 전체 의약품 비용 중 신약 지출 비중이 OECD 평균 대비 60%나 낮다는 점을 염려했고, 한국의 신약 급여 접근성이 OECD 상위 10개국 수준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88%로 나타났다.
의료진들은 정부의 제2차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의 4대 추진 전략 중 혁신 신약 접근성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이와 함께 급여 결정 과정에서 임상 현장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응답자 88%는 의약품의 건강보험 등재 과정에서 의료진의 의견이 더 많이 반영돼야 한다고 답했고, 80%는 건강보험 등재 의약품 사용 대상 환자군을 선정하는 과정에 의료진이 참여해야 한다고 전했다.
KRPIA는 "현장에서 환자를 돌보는 의료진은 혁신 신약 도입이 지연됨에 따라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현실을 누구보다 안타까워하며 보다 신속하고 폭넓은 범위에서 신약이 건강보험에 등재되길 바라고 있다"며 "이번 조사 결과가 환자 중심의 치료환경 조성과 정책 설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