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 2024년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발표
사용량 늘었지만 내성 발생도 증가…적절한 상담 거쳐 안전 사용해야
[메디칼업저버 손재원 기자]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술은 고용량, 다빈도화되는 반면 효과 감소를 경험하거나 내성 발생이 의심되는 소비자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는 2024년도 보툴리눔 톡신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조사는 2023년부터 2년간 국내 만 20~59세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연 2회 이상 톡신 시술을 받는 소비자 비율은 2023년 56%에서 2024년 59%로 증가했다. 한 번에 두 부위 이상 시술을 받는 비율도 51%에서 55%로 늘었다.
분당서울대병원 허창훈 교수(피부과)는 "이번 조사에서 톡신 효과 감소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75%, 내성이 발생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응답한 소비자도 38%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며 "보툴리눔 톡신 시술이 고용량, 다빈도화되면서 내성 의심 소비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압구정오라클피부과 박제영 대표원장은 "이번 조사에서 고무적인 부분은 시술 상담 시 내성 발생 가능성 차이에 관해 안내를 받은 비율이 2023년 36%와 2024년 46%로 증가했다는 점"이라며 "내성 가능성에 대한 의료진 현장 안내가 점차 개선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내성 가능성에 대해 들어본 적 있다는 응답은 2023년 86%에서 2024년 92%로 증가해 내성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툴리눔 톡신 시술 상담 시 과거 이력에 대한 질문이나 안내를 받은 적 있다고 답한 비율은 2년 모두 23%에 그쳤다. 위원회는 과거 이력을 바탕으로 적정 용량과 주기, 제품에 대한 상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옥륜 위원장(서울대 보건대학원 명예교수)은 "보툴리눔 톡신은 국내에서 매우 흔한 시술 중 하나지만 조사 결과 안전하고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인식과 노력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며 "소비자들은 톡신 시술을 위해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야 하며, 의료진과 소비자 모두를 위한 안전한 톡신 사용 문화 정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원회는 안전한 보툴리눔 사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위원회 웹사이트 내 사업소개-연구자료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원회는 웹사이트를 통해 보툴리눔 톡신 안전 사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마이 톡신 체크리스트를 통해 톡신 시술 부위별 적정 주기, 발생 가능한 부작용, 제품별 차이 등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