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예지 의원,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통해 확인
중증 및 젊은 당뇨병 환자 맞춤형 지원 절실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중증 및 젊은 당뇨병 환자에 대한 맞춤형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슐린이 필요한 심각한 당뇨병 환자가 최근 더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국회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이 2024년 국정감사에 앞서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당뇨병 소모성 재료에 대한 요양비가 지급되는 실수진자 수는 지난 2017년 17만 3560명에서 2022년 28만 3351명으로 무려 65.7% 증가했다.
2023년은 10월 기준 28만 3351명으로 2022년 수준에 근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소모성재료 요양비가 쓰인다는 것은 혈당 관리를 위해 인슐린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미다.
당뇨병의 유형이나 중증도로 인해 보다 각별한 관리가 필요한 환자에 해당된다.
같은 기간 해당 요양비 지급금액은 2017년 약 290억원에서 2022년 874억원으로 무려 세 배 이상(201.3%) 급증했다.
중증도가 심각한 당뇨병 환자의 수도 늘고, 인슐린 투여 등을 위해 쓰인 비용은 더 크게 늘었다.
중증 당뇨병 환자 중 젊은 환자 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인슐린이 필요해 요양비를 지급받은 39세 이하 당뇨병 환자수는 2022년 기준 4만 1638명으로, 2017년 2만 9389명 대비 41.7% 증가했다.
젊은 당뇨병 환자들의 경우 학교나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 특히 인슐린을 통한 면밀한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 심각성이 더하고 있다.
김예지 의원은 “그간의 정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당뇨병은 양적, 질적으로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근거자료”라며 “특히 혈당 관리에 인슐린이 꼭 필요한 환자나 젊은 당뇨병 환자들은 환경과 처해진 상황에 부합하는 맞춤형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예지 의원은 중증 당뇨병 환자 등의 치료, 관리 환경 등 개선을 위해, 법안 발의를 통해 소아, 청소년, 청년 당뇨병 환자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정부지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힘을 쏟고 있다.
지난 7월 30일 김예지 의원이 대표발의한 '소아청소년청년 당뇨병 환자 등 지원에 관한 법률'은 기존의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소아, 청소년, 청년 등 젊은 당뇨병 환자 △인슐린이 필요한 중증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관리환경과 처우를 개선하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