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허훈·임선교 교수팀, 연구 결과 Gastroenterology 게재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위암 환자의 수술 전 장내 미생물 상태로 위절제술 후 영양상태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허훈(위장관외과), 임선교(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최근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위암 절제술을 받은 환자군 180명과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받은 환자군 11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및 임상 정보를 분석했다.

위암 수술 전 장내 미생물 유형에 따라 박테로이데스와 프레보텔라로 구분했고, 수술 1년 후 환자들의 체중 감소, 신체 질량 지수, 혈액 내 알부민 수준 등을 토해 영양 결핍 정도를 확인했다. 

그 결과, 수술 전 장내 미생물 유형에 따라 수술 후 체중 감소, 각종 영양지표의 감소, 즉 영양 결핍 정도가 서로 차이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영양 결핍 환자는 수술 후 분변 내 독성인자를 가진 미생물이 증가했다. 

예를 들어 수술 전 프레보텔라 계열 장내 미생물이 풍부한 환자의 경우, 수술 후 영양 결핍이 더 심했다. 

연구팀은 "수술 후 장내 장벽 역할을 하는 미생물 네트워크 변화가 장내 영양결핍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허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위암 수술 후 영양 결핍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위암 수술 후 영양 결핍을 예방할 수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 분야 학술지 Gastroenterology(IF 25.7)에 ‘Effect of enterotype-dependent stability of the gut microbiome on post-gastrectomy malnutrition in gastric cancer patients(위암 환자의 위절제술 후 영양결핍에 미치는 장내 미생물 상태의 효과)’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게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