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8일 참여전문의 명단 최종 확정…본격적 개시 안내
참여 의료기관 및 전문의 소통과 의사결정 통한 치료 기대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보건복지부는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문제해결형 진료협력 네트워크 시범사업의 참여전문의 명단이 지난난 8일 최종 확정됨에 따라 각 네트워크에 최종 확정된 참여자 명단을 전파하고 사업 개시를 안내했다고 11일 밝혔다.
네트워크는 두 가지 유형으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기반 기관 간 네트워크와 전문의 기반 인적 네트워크의 두 종류가 있다.
최종 확정된 네트워크의 수는 기관 간 네트워크 10개 팀, 인적 네트워크 55개 팀이다.
네트워크 간 소통과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신속의사결정 플랫폼이 지난 2월 26일 개통됨에 따라, 네트워크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전문의들은 간단한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시범사업 시작일인 2월 26일부터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인적 네트워크의 경우 최종적으로 55개 팀에서 1317명이라는 많은 수의 전문의들이 참여함에 따라 각 네트워크가 3월 8일까지 참여 명단을 제출해 이날 명단이 확정됐다.
네트워크 시범사업은 2024년 2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3년간 운영된다. 시범사업에 참여하게 되면 각 기관은 네트워크 구성·운영·유지를 위한 연차별 지원금을 매년 사전에 일괄 지급받고 연차별 성과평가에 따라 추가지원금을 차등 지급받게 된다.
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치료 골든아워 사수가 그 무엇보다 중요한 심뇌혈관질환의 최종치료까지 시간 단축과 치료성과 향상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이번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충실히 추진하고, 운영 과정에서 보완점도 적극 개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간호사, PA 시범사업으로 의료소송 걸릴 가능성만 높아졌다
- 정부, 대형병원에 군의관·공보의 158명 파견…의료 공백 해소 의문
- 의사 압박 위해 정부 '풀 스윙'... "의사 악마화 이런 태도가 맞나?" 비판도
- 정부, 이탈 전공의들에게 행정처분 사전통지서 발송 ... 복귀하면 선처
- 고대 안암병원, 조기 암 진단 획기적 패러다임 제시
- 민간병원에 매월 1882억원 지원한다는 정부…시민단체 의견 엇갈려
- 의대 교수 집단사직 움직임에도 정부는 "2000명 증원은 변함 없어
- 복지부,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 사업협력 간담회 개최
- "신경계 응급질환, 필수의료 수준으로 격상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