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영·박태준 교수팀, 샤넬 연구팀과 공동 개발...노화 멜라닌 세포 특징 밝혀

왼쪽부터 아주대의료원 강희영, 박영준, 김진철 교수(피부과), 박태준 교수(생화학교실)
왼쪽부터 아주대의료원 강희영, 박영준, 김진철 교수(피부과), 박태준 교수(생화학교실)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아주대의료원은 강희영·박영준·김진철(피부과)·박태준 교수(생화학교실) 연구팀이 당대사 조절을 통한 피부 멜라닌 세포 노화 지연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특히 이번 연구는 글로벌 기업 샤넬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됐고,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Theranostic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피부 색소 세포인 멜라닌 세포의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세포 내 당대사의 변화가 발생, 멜라닌 소체의 전달 기능 장애로 세포 내 멜라닌 색소 축적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

연구팀은 노화된 멜라닌 세포에서 정상 멜라닌 세포에 비해 멜라닌 색소와 멜라닌 소체의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또 노화 표현형 유전자 발현의 증가 및 멜라닌 소체 전달 기능 관련 유전자와 단백질 감소를 확인했다.

반면 멜라닌 합성능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이 같은 현상이 멜라닌 소체 전달 기능의 장애가 원인인 것을 규명해냈다.

특히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에서 정상 멜라닌 세포가 노화 상태가 되는 전화점이 있을 규명했으며, 이를 기준으로 당대사 및 멜라닌 소체의 기능적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해당 과정의 조절물질인 2-디옥시-D-글루코스를 기반으로 한 당대사 과정 재프로그래밍을 통해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세포의 노화 지연 기술을 개발해냈다.

대사 과정 재프로그래밍을 통해 멜라닌 세포의 노화를 늦추고 멜라닌 소체의 전달 기능과 멜라닌 색소, 소체 함량이 정상화되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강 교수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지속적이 관심의 대상인 피부 노화와 관련해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멜라닌 세포의 노화 기전 및 노화 멜라닌 세포의 새로운 특징을 처음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당대사 조절을 통해 피부 멜라닌 세포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새롭게 확인했다"며 "앞으로 피부노화를 정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