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복지 연계..."고령화 시대에서 융합 서비스 중요"
국립대병원 이관? "공공의료 강화 및 효과적 인적교류"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보건복지부 정호영 장관 후보자가 보건부, 복지부 분리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정 후보자는 보건복지위원회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에서 '보건복지부 분리에 대한 입장은 무엇인가'라는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정 후보자는 "보건복지부 분리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며, 현재는 코로나19의 완전한 극복을 위해 조직 전체 역량을 집중할 때로 조직 개편 논의가 적절치 않다"고 설명했다.
특히 보건과 복지가 유기적으로 연계돼야 한다는 입장도 강조했다.
정 후보자는 "현장에서 보니 질병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에게 건강문제가 많이 나타나는 등 건강과 복지 문제가 맞물려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건과 복지 정책을 함께 수행하는 현행 체계의 장점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노인인구 천만 시대에는 의료, 요양, 돌봄의 융합 서비스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립대병원의 소관을 보건복지부로 이관하는 것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정 후보자는 "보건복지부로 국립대병원 소관을 이관하면 공공의료 체계가 전반적으로 강화되고, 권역 내 공공병원 간 인적 교류 등을 통해 지역 필수의료 생태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대학과 병원의 소관 부처 분리에 따른 교육·연구 기능 축소, 복지부의 전문적인 지도감독에 따른 자율성 침해 등 현장의 우려도 존재한다고 언급했다.
정 후보자는 "국립대병원 소관 기관의 취지를 살리면서 갈등 없이 해결할 수 있는 대안(과감한 지원,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모색하겠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