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선각화증 유전체분석을 위한 단일세포연구방법 사용 연구 진행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병원장 한창희) 이영복 교수(피부과)가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2022년도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중견연구자 지원사업은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역량 강화, 창의적 연구 촉진 등을 목표로 하는 정부 연구지원 사업이다.
의정부성모병원은 이영복 교수가 이전에 진행한 광선각화증의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사용한 연학 연구 조사의 후속 연구로 광선각화증의 유전체분석을 위한 단일세포연구방법을 사용하는 연구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이 교수는 3년간 3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광선각화증은 피부에 발생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자외선 노출에 의한 유전체 변이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얼굴 및 손등 등 햇볕에 노출되기 쉬운 부분에 발생할 수 있다. 피부편평세포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 치료를 요한다.
이 교수는 "연구가 진행되는 단일세포연구방법을 통해 단일세포의 단위 유전체 및 전사체 분석이 가능하다"며 "피부세포뿐 아니라 주변의 염증세포를 분석해 광선각화증의 병리기전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