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안암병원 김병조·박진우 연구팀,
고칼로리식이와 체지방증가율 생존기간에 영향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루게릭병 환자에 대한 고칼로리식이와 체지방증가가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됐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신경과 김병조, 박진우 교수 연구팀은 인천로뎀병원 연구팀(유재국 원장, 김민석 연구원)과 함께 루게릭병 환자에서 충분한 영양 공급이 이뤄지는 것이 질병 예후에 중요한 인자임을 규명했다.
루게릭병은 중추신경계의 운동신경세포가 사멸하면서 전신의 근력 저하가 빠르게 진행되는 대표적인 신경퇴행성 희귀난치성 질환이다.
발생 원인과 치료방법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현재까지 아주 제한적인 진행 억제 효과를 보이는 몇 가지 약물 외에는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았다.
그동안 루게릭병 환자들에서의 영양 공급이 예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있었지만 명확히 규명된 바는 없었다.
연구팀은 인천로뎀병원에 입원했던 루게릭병 환자들의 장기 추적 데이터를 이용해 생존분석을 시행한 결과, 경구 식이 섭취를 할 수 없는 환자의 경우 경구 식이가 가능한 환자에 비해 사망위험비가 약 4.7배 증가하고 단위 시간당 체지방율의 증가 정도가 낮을수록 사망위험비가 약 4.9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김병조 교수는 "이번 연구는 루게릭병 환자들에서 영양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한 연구"라며 "충분한 영양 공급과 함께 월 평균 체지방 변화율을 추적 관찰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Body Fat Percentage and Availability of Oral Food Intake: Prognostic Factors and Implications for Nutrit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Nutrients(SCI IF 5.717)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