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이 의원, 7일 국정감사에서 공공의대 설립 연이어 촉구
권덕철 "사회적 공론화로 의견 수렴해야...중증 응급의료 보완"

왼쪽부터 복지부 권덕철 장관, 민주당 김원이 의원 (출처 전문기자협의회)
왼쪽부터 복지부 권덕철 장관, 민주당 김원이 의원 (출처 전문기자협의회)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의정협의체 논의가 지지부진해 협의가 지연될 경우에는 정부가 강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 지적이 여당에서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은 7일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국정감사에서 공공의대 신설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김 의원은 "지지부진한 의정협의보다는 실현가능한 방안을 마련해 지역간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자는 의미"라며 "의정협의체와 적극 협의도 중요하지만 언제까지 협의를 핑계로 의협의 방해를 방치할 것인가는 또다른 문제다. 협의가 지연될 경우에는 정부가 강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권덕철 장관은 "사회적으로 충분히 공론화해 의견이 수렴된다면 그렇게 할 수 있다"면서도 "엄중한 코로나19 시기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지방 권역별 응급의료센터 수치를 제시하며 응급환자가 전원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심근경색 등 3대 중증환자를 중심으로 전원한 사례가 특히 많다. 사유를 살펴보니 응급수술 및 처치불가가 3292건, 중환자실 부족이 1886건"이라며 "더 자세히 살펴보면 지방은 응급수술, 처치불가 사유가 많았고 수도권은 병실이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기서도 지방의 의료 불균형 문제가 나타난다. 필수 의료인력이 없어서 수술이 불가능하니까 옮기라는 것"이라며 "어렵게 도착했는데 또다른 곳으로 옮겨야 한다면 얼마나 처참한가. 대책을 세워달라"고 촉구했다.

권 장관은 "시급히 개선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중앙응급의료위원회를 개최해 진료권 내에서 최소한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중증응급의료센터를 70개 권역에서 반드시 1개소씩 운영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이 부분은 골든타임을 높쳐선 안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이 작동되도록 계속 점검해가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