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리포트' 논문 발표
염증진단키트 5단계 분석법으로 중증도 진단 및 효과적 치료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안구 표면의 만성적인 염증성 안질환인 안구건조증의 중증도를 눈물 내 간이 염증 평가를 통해 손쉽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제시됐다.
중앙대병원 김경우 교수(안과)와 김민정 전공의 연구팀은 최근 눈물 내 안구건조증 염증 진단 키트 5단계 분석법의 검증 관련 연구 논문 'Assessment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5 scale grading system of the point of care immunoassay for tear matrix metalloproteinase-9'을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안구건조증 환자의 눈물 내 염증 수준을 진단키트를 이용한 검사를 통해 5단계 구분법에 따라 판독하는 것이 실제 눈물 내 염증을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반영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안구건조증은 안구 표면의 염증으로 발생하는데, '금속단백분해효소-9(matrix metalloproteinase-9)'는 안구 표면 염증 시 동반 상승해 염증성 안구건조증 진단에서 중요한 생체 지표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임상에서 널리 이용되는 눈물 내 금속단백분해효소-9 검출 검사는 정성 혹은 반정량검사 방법으로 국내외 많은 안과 병원에서 양성·음성의 이분법적 판독으로 인해 안구건조증의 정밀 진단이 어려웠다.
하지만 연구팀은 안구건조증 환자들의 눈물 내 안구건조증 염증 진단 생체지표인 금속단백분해효소-9의 농도를 진단키트의 붉은 판독 띠의 농도에 따라 0에서 4단계의 5단계 분석법을 통해 2주 간격으로 2회 판독했다.
그 결과, 높은 판독 일치도와 신뢰도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안구건조증 진단을 5단계로 구분해 등급별로 판독하는 게 실제 금속단백분해효소-9의 농도 차이를 잘 구분할 수 있고 여러 검사자들 간에도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손쉬운 방법이라는 점을 검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안구 표면의 염증 중증도를 구분해 치료의 강도를 결정하고 치료 후 반응을 가늠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부연했다.
김 교수는 "안구건조증은 자칫 사소해 보일 수 있지만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올 수 있는 질환으로, 원인이 다양하고 복잡한 상호관계로 얽혀 있기에 정밀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효과적인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공눈물점안액은 일시적인 증상 완화에 더 가까워 근본적이고 장기적으로 효과있는 치료를 위해 눈물 내 염증검사, 삼투압검사 등의 정밀검사 기반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논문은 지난달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