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R] Christopher J. Edwards 연구팀, 등록데이터 분석
질병활성도와 DAS28-ESR 등에서 우세
리얼 월드에서 릴리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올루미언트(성분명 바리시티닙)가 기존 약제로 치료를 받은 환자들보다 치료 지속률에서 우수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최근 온라인으로 개최된 영국류마티스학회 학술대회(BSR)에서 공개됐다.
올루미언트는 염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 물질인 JAK1 및 JAK2를 억제하는 경구 표적 합성 DMARD다.
1일 1회 복용만 하면 돼 환자들의 복용 편의성을 높인 치료제로 평가받고 있다.
리얼월드에서 유효성, 내약성에서 힘 발휘
영국 사우샘프턴병원 Christopher J. Edwards 연구팀은 2018년 1월~2019년 3월 사이 영국 류마티스학회 생물학적 제제 등록(BSRBR)-RA에 등록된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6개월 동안 류마티스관절염 질병활성도 평가지수(DAS28-ESR)와 치료 지속기간, 추적관찰 후 DAS28-ESR 등을 측정했다.
세부그룹 분석에서는 ▲이전에 생물학적 표적합성항류마티스제(biologic/targeted synthetic DMARD, b/tsDMARD) 치료를 한 경험이 없는군(n=148), ▲치료 경험이 있는군(n=250) ▲올루미언트 단독치료군(n=158)의 DAS28-ESR과 치료 지속률 등을 평가했다.
연구결과 기준점에서 DAS28-ESR을 측정한 값은 5.6(평균값), 5.7(중앙값)이었다. 또 추적관찰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숫자는 163명이었다.
치료를 계속할 수 있었던 환자는 122명(74.9%)였고, 추적관찰 시점에서DAS28-ESR은 3.7. 3.4였다.
세부그룹 분석에서 기준점에서 b/ts DMARD 치료 경험이 없는군의 기준점에서의 DAS28-ESR 값은 5.7(평균값), 5.8(중앙값)이었다. 또 치료 경험이 있는군의 값은 5.6과 5.6이었다. 올루미언트 단일치료군은 5.6, 5.7이었다.
추적관찰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숫자는 치료 경험이 없는군 59명, 치료 경험이 있는군 103명, 올루미언트 단일치료군 65명이었다.
지속률은 치료 경험이 없는군은 50(84.8%). 치료경험이 있는 군은 71(68.9), 올루미언트 단일치료군은 51(80.0%)였다.
추적관찰한 시점에서 DAS28-ESR 값은 치료 경험이 없는군은 3.4, 3.3이었고, 치료 경험이 있는군은 3.8, 3.5였고, 올루미언트 단독치료군은 3.7, 3.3이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올루미언트는 유효성과 내약성에서 꽤 괜찮은 성적을 냈다"며 "하지만 연구의 샘플 사이즈가 적고, 하위그룹 분석에서 올루미언트가 모두 효과적 나타났다는 점 등은 한계일 수 있다"고 말했다.
